재난문자 20년 간 총 21만건…서비스 성과·발전 방향 모색
- 한지명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행정안전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재난문자방송 서비스 20주년 기념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재난문자방송 서비스는 2005년 5월 15일 도입 이후 20년간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핵심 재난정보 전달 수단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지금까지 송출된 재난문자는 총 21만여 건에 달하며 △휴대폰 재난문자 수신기능 탑재 의무화(2013년) △송출 문안 용량 확대 및 표준문안 마련(2019년) △송출 권한 시·군·구 확대(2019년) △송출지역 읍·면·동 단위로 세분화(2023년) △핵심정보 영문 병기(2024년) 등 지속적인 개선이 이뤄졌다.
다만 취약계층 전달 효과 제고, 중복·과다 발송에 따른 피로도 완화 등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행정안전부를 비롯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이동통신 3사, 민간 전문가 등이 참석해 서비스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한다.
행정안전부는 재난정보 제공 체계와 향후 운영 방향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최신 기술 동향과 고도화 방안을, 한국행정연구원은 국민 관점의 서비스 평가 및 요구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다.
hj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