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을버스, 운행 중단 유보…시장 면담부터 순차적 압박
마을버스운송조합, 임시총회 열고 대응방안 논의
대중교통 환승체계 운임정산 비율은 재조정 요청
- 장성희 기자, 이비슬 기자
(서울=뉴스1) 장성희 이비슬 기자 = 서울 마을버스 업계가 손실 보전을 위해 22일 오세훈 서울시장 면담 요청을 시작으로 요금 인상과 환승 손실금 보전 확대를 위한 순차적인 압박에 나서기로 했다.
당초 운행 중단과 대중교통 환승체계 탈퇴를 경고한 입장에서 한발 물러난 셈이다. 다만 시의 수용 여부에 따라 강경대응에 나설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서울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에 따르면 총 140개 업체 중 82개 마을버스는 이날 인천 영종도 인스파이어 회의실에서 열린 긴급 임시총회에서 서울시에 대한 대응 방안을 과반 찬성으로 의결했다.
조합이 의결한 방안은 △시장 면담 요청 △시청 앞 기자회견 △1인 릴레이 시위 △마을버스 차량 현수막 게첨 운행 △마을버스 준법운행 △대중교통 환승합의서 탈퇴다. 면담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대응 수위를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또 조합은 대중교통 환승제에 따라 발생하는 손실을 개선하기 위해 '대중교통 환승통합거리비례제 운임정산비율'에 대해 재조정을 요청하기로 의결했다.
2004년 7월 체결된 현재의 정산 방식이 마을버스 수익 악화를 초래했다는 주장이다. 이에 조합은 합의 주체인 서울시와 서울시버스조합에 운임 정산방식에 대한 변경 의사를 개진하고, 전철·지하철 운영기관과 버스조합에 정산방식을 수정 협의하는 것을 요청하기로 했다.
앞서 조합은 지난 16일 서울시에 마을버스 요금을 현행 1200원에서 시내버스 수준인 1500원으로 올리고, 환승 손실금을 증액해 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수용되지 않을 경우 운행 중단을 검토한다는 입장이었다.
민영제로 운영되는 마을버스는 적자를 세금으로 보전해 주는 시내버스와 달리 이익과 적자를 모두 회사가 책임져 지속해서 손실이 누적되고 있다는 주장을 편다. 서울시가 보조금을 일부 지급하고 있으나 역부족이라는 게 조합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올해 마을버스 재정지원 총액은 지난해보다 증액됐으며, 조례에 따라 예산 범위 내에서 기준액을 산정한 것"이라며 "재정지원은 협상의 대상이 아니며, 운송사업조합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grow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