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호 "세종보 재가동 기대"…환경단체 "수문 닫으면 재앙"(종합)
최 "4대강 사업과 무관, 가동 중단돼 예산낭비"
환경단체 "재가동 임박한 듯 포장해 시민 선동"
- 장동열 기자
(세종=뉴스1) 장동열 기자 = 2018년 이후 가동 중단된 세종보 관련 세종시가 재가동에 대한 기대감을 표했다. 반면 환경단체는 강력 반발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20일 세종보 정기점검에 대해 "시험 가동이 신속한 재가동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환영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자청해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의 세종보 시험가동(정기점검)을 적극 환영한다"며 "세종시는 세종보 시험가동에 그치지 않고 신속한 재가동으로 이어지길 기대하며 이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세종보 완전 개방 후 방치로 막대한 예산 낭비를 초래했다"며 "방치되는 동안 금강 내부에 모래톱이 쌓여 육역화가 빠르게 진행됐다"고 지적했다. '육역화'는 하천의 물길 구간에 토사와 부유물로 퇴적지가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최 시장은 세종보가 4대강 사업이 아니라는 점, 노무현 정부에서 수립한 기본계획에 따라 이명박 정부에서 건설한 점, 문재인 정부가 보 가동을 중단해 막대한 예산 낭비가 발생한 점 등을 재가동 당위성으로 꼽았다.
환경단체의 환경오염 유발 주장에 대해선 "보 가동을 녹조 발생과 수질 오염의 주된 원인으로 볼 수 없다는 조사 결과가 다수 축적된 상태"라며 "정부가 2023년 9월 재가동을 최종 결정한 것 역시 이런 연구를 기반으로 판단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상반기 30억 원을 들여 고장 난 수문과 유압 배관 등을 수리한 뒤 재가동을 준비 중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최근 수문 점검에 나서 오는 28일까지 계속할 예정이다.
그러나 환경단체의 강한 반발에 막혀 재가동 일정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 시장은 "하천 불법 점용을 지속하는 일부 환경단체는 즉시 불법행위를 중단하고 원상 복구해 달라"고 촉구했다.
환경단체 관련 질문에는 "낙동강·영산강 유역 환경단체들이 왜 금강에 와서 이러는지 모르겠다"며 답답함을 감추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대청댐을 허물면 세종보를 안하겠다'는 다소 과격한 발언도 나왔다.
최 시장의 기자회견 뒤 환경단체들로 구성된 보철거를 위한 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은 즉각 반박 성명을 내놓았다.
시민행동은 이날 성명을 통해 "(최민호 시장이) 통상 1년에 한 번 진행하는 정기 점검을 '재가동을 위한 시험가동'으로 포장해 마치 세종보 재가동이 임박한 것처럼 시민들을 선동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4대강 사업이 아니라는 최 시장의 주장에 대해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 기본계획에 반영돼 4대강 사업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기본계획에 반영된 보 설치 계획과 세종보는 위치나 규모가 전혀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세종보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 예산으로 설치된 결과물"이라고 강조했다.
녹조 발생과 수질 오염의 주된 원인으로 볼 수 없다는 언급에 대해서도 "강물의 흐름이 막히면 유속이 느려지고 자연히 햇빛 노출시간이 길어져 온도가 상승하는데 4대강 유역 녹조는 날로 심해지고 있다"며 "낙동강은 작년 최악의 녹조가 발생했고, (이는) 세종보 수문을 닫으면 세종시민들에게도 닥칠 재앙"이라고 주장했다.
시민행동은 "세종시민을 위한다고 앞세우면서 거짓 정보로 시민을 선동하는 최민호 시장은 시장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pi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