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재활용선별센터 건립 필요성 논란… 갈등 계속
기존 처리량 50톤→110톤 활용 가능…'쓰레기대란' 등 대비
청주시, 산업단지 개발계획 변경안 충북도 제출…오늘 심사
- 이재규 기자
(청주=뉴스1) 이재규 기자 = 충북 청주시가 추진하는 현도면 재활용선별센터 건립을 두고 일부 환경단체와 지역 주민의 반발이 거세다.
하지만 자원순환과 환경보호를 위해서는 재활용선별센터 건립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무조건적인 반대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청주시에 따르면 현재 청주시에서는 하루 200톤이 넘는 재활용 쓰레기가 배출되고 있다. 이 가운데 청주시가 직영으로 64톤을 처리하고 나머지는 민간 업체가 처리한다.
현도면에 재활용선별센터를 건립하면 청주시가 직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 처리량이 110톤으로 늘어난다.
또 중국의 폐기물 수입 금지와 함께 폐비닐과 폐플라스틱 수거 거부로 촉발된 2018년 '재활용 쓰레기 대란'과 같은 것에도 대비할 수 있다는 게 청주시의 설명이다.
더욱이 현 휴암동 재활용선별센터는 시설 노후화로 효율성이 떨어지고, 폐기물이 많은 날은 하루 처리량이 70~80톤을 훌쩍 넘겨 처리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청주시가 설치 규모를 산정하면서 기준으로 삼은 인구가 2028년 예측인구인 데다 이것에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며 이를 문제 삼고 있다.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은 지난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2024년도 인구를 100만 6000명, 2028년에는 103만 8000명으로 조사해 하루 평균 55.3톤과 57.1톤이라는 결과를 도출했다"며 "하지만 현재 인구인 88만 명으로 계산해 보면 48.4톤"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은 주장에 청주시는 "인구수가 증가 추세고, 과다하게 설계됐다고 보긴 어렵다"며 "처리 여유분을 두는 형태로 산정했다"는 입장이다.
일부 주민은 환경영향평가 절차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청주시는 이것 또한 충북도의 승인과 검토를 거쳤으며 절차상 하자는 없었다고 맞서고 있다.
청주시는 주민 설명회와 직능단체 협의를 거쳤으며 앞으로도 계속 소통을 이어갈 방침이다. 다만 행정 절차와 주민 갈등을 고려할 때 지금의 터가 최선의 선택이라는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
또 이곳 폐기물처리시설 용지를 매립장으로 사용하지 않는 만큼 아예 '재활용시설'로 전체 용도를 변경해 센터를 건립하는 내용의 산업단지 개발계획 변경안을 충북도에 냈다. 충북도는 이날 위원회를 열어 개발계획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일각에서는 환경보호를 최우선으로 해야 할 환경단체가 재활용선별센터 건립을 반대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비판도 나온다.
기존의 폐기물 처리 방식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효율적인 선별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재활용을 강조하는 것은 모순적 태도라는 지적이다.
청주시 관계자는 "주민 우려를 무시할 수는 없다"며 "청주시는 주민과 환경단체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소음과 먼지 등 환경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첨단 설비를 도입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jaguar97@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