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총장도 반대' 교통대 통합 추진에 반대 여론 확산
통합반대추진위, 대선 공약 반영 추진
포럼 관계자 "대선 후 정책 바뀔 가능성도"
- 윤원진 기자
(충주=뉴스1) 윤원진 기자 = 충북 충주에서 한국교통대 통합 추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지역 사회단체에 따르면 가칭 통합 반대 추진위원회 구성이 추진 중이다.
추진위는 시민 1000명 이상이 참여하는 규모로 교통대 전 총장들도 동참해 눈길을 끈다.
이들은 조만간 기자회견 등을 열어 교통대 통합 추진에 반대 의사를 공식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오는 6월 3일 조기 대선에 각 당의 공약 반영까지 추진할 계획이라서 주목된다.
1년 넘게 통합 문제 공론화에 앞장서 온 이태성 충북대 대학원 교수도 다가오는 대선에 충주의 목소리를 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수평통합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교통대를 인공지능(AI)과 모빌리티 중심의 특성화 대학으로 집중 육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일선 충북환경운동연대 대표는 교통대와 충북대 통합은 최종 확정되지 않았다며 교통대는 독자적인 발전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 대표는 "청주에서 충주로 온다는 학과와 교수들이 있는가"라고 따져 물으며 "교통대의 일부 구성원들이 충주공전과 철도대의 역사를 팔아넘길 정당성도 권리도 없다"라고 지적했다.
박 대표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충주공전의 4년제 대학 추진 경과 보고서를 공개하기도 했다. 충주공전은 교통대의 전신이고, 철도대와 통합해 교통대가 탄생했다.
지역사회의 이런 반발은 교통대와 충북대 통합 추진 과정에서 교통대가 실리를 찾지 못했다는 평가가 바탕이 됐다.
교통대는 충북대와 통합을 추진하며 대학본부는 청주에 두고 통합 대학 교명도 충북대로 정했다. 교통대 9개 학과를 청주로 보내는 대신 충주에는 학과 조정의 뚜렷한 대가가 없다는 점에서 충주에서는 이번 통합이 흡수통합이 될 수밖에 없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충주지역 사회단체와 교통대 총동문회도 통합은 지지한다면서도 흡수통합에는 반대한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지역 사회단체 관계자는 "대선 이후 교육부 정책이 바뀔 가능성도 있다"며 "대학 간 통합에는 더 신중한 고민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교통대와 충북대는 통합을 전제로 교육부의 글로컬대학30 사업에 선정됐다.
blueseeking@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