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태양광 폐패널 처리시설' 예정지 하필 제천 역사 간직 유적지

장평리 일대 옛 제천의 행정관청 중심지
고려시대에 유행한 '어골문' 발굴 기록도

1969년 제천군지편찬위원회 편찬된 제천군지는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일대를 '제천 장평리 유적'으로 기록해놨다.(독자제공)/뉴스1

(제천=뉴스1) 손도언 기자 = 주민 반대와 함께 거센 반발을 사는 충북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태양광 폐패널 폐기물 종합재활용시설' 예정지 일대가 '유적지'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장평리 지역은 고려시대 기와(와편)가 출토되고 옛 치소(지금의 제천시청), 즉 제천시의 행정관청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제천의 역사를 기록한 제천군지(1969년 제천군지편찬위원회 편찬)와 제천향토사료집(2008년 편찬), 봉양면지 등에 따르면 제천의 옛 치소는 근우면(지금의 봉양읍) 장평리에 있다.

제천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옛 관행 길의 오른쪽에 있어 근우면으로 불렸다. 1914년, 1920년, 1980년 행정구역 변경 등으로 봉양면이 됐다. 또 1995년 1월 시군 통합에 따라 봉양읍으로 승격했다.

장평리는 옛 문헌에서 '옛 제천 고을이 있었다'고 기록돼 있다. 고을은 조선 시대 주(州)·부(府)·군(郡)·현(縣) 등을 두루 이르던 말인데, 지금의 행정관청 중심 지역이다.

옛 고서대로라면 옛 제천시청 자리가 봉양읍 장평리에 위치했다는 얘기다.

2008년 편찬된 제천향토사료집은 장평리 일대를 '옛 제천'으로 기록했다. 옛 제천은 제천시의 행정관청 중심지였던 것으로 전해졌다.(독자제공)/뉴스1

또 장평리에는 치소(治所)뿐만 아니라 아사 터(관아)와 객사 터(국왕의 위패를 모시는 곳) 등 큰 시장 등이 형성된 곳으로 알려졌다.

장평리 유적은 제천군지에서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장평들 552번지 1호에 소재한다고 적혀 있다.

유적은 장평들의 논에서 채집됐는데, 이곳에서 논을 경작하던 한 노인은 '논을 경작하는 과정에서 다섯 리어카 정도의 기와가 논에서 나와 이것을(기와) 논 한쪽에 묻었다. 또 이곳에 큰 시장이 형성됐고, 집이 수십 채가 들어섰다'라는 말을 전해 들었다고 기록돼 있다. 장평리(장평들)에 대규모 건물이 들어섰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에서 채집된 기와는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시대에 유행한 어골문(물고기 뼈 모양 등 빗살무늬 토기 일종)과 복합문 등이 채집된 것이다.

제천의 한 향토 사학자는 "봉양읍 장평리는 옛 고서에서 유적지로 평가받았던 지역"이라며 "지금이라도 매장 유물 등과 유적지의 형태 등을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천시 봉양읍 장평1·2리 연박 2리 주민 30여명이 13일 오전 8시 30분쯤 제청 시청 입구에서 집회를 열고 '폐기물 시공업체 결사반대, 목숨과 터전을 지키자' 등 구호를 외치며 집회를 하고 있다.2025.5.13./뉴스1 ⓒ News1 손도언 기자

k-55son@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