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끝나고, 대선 치르면 오른다…서울지하철 6월28일부터 '1550원'
'300원 인상' 예고 2년 만…'만년적자'에 요금 인상 절실
"운송기관별 운임신고 절차 등 행정절차 남아"
- 권혜정 기자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시민의 발' 서울·수도권 지하철 요금이 6월 28일 첫차부터 150원 추가 인상된다. 체감상 5월 황금연휴가 지나고 6월 3일 대통령선거를 치르면 요금인상이 진행되는 셈이다.
요금 인상으로 서울·수도권 지하철 요금은 1400원에서 1550원으로 오른다. 이는 서울시 등이 지하철 요금을 300원 올리겠다고 예고한 지 2년여 만의 마무리다.
4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24일 경기도와 인천시,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과 회의를 열고 지하철 운임 조정안을 확정했다. 조정안에 따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지하철 요금은 6월 28일 오전 첫차부터 1400원에서 1550원으로 150원 인상된다.
시는 지난 2023년 10월 지하철 기본요금을 1250원에서 1400원으로 150원 인상하면서 2024년 하반기 나머지 150원을 추가로 인상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당시 정부가 물가 억제 기조를 강조함에 따라 시는 이같은 계획을 접어야만 했다.
이후 시는 올해 초 3월 중 요금을 인상하겠다고 했으나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간의 갈등 여파로 요금인상안은 경기도의회에 상정조차 되지 않았다. 여기에 오세훈 서울시장의 대통령 선거 출마로 요금 인상 추진에 동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왔으나 최근 경기도의회에서의 안건 통과, 오 시장의 대선 불출마로 인해 요금 인상 논의에 속도가 붙었다.
'만년 적자' 서울 지하철은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는 요금 인상이 절실한 상황이다. 공사의 지난해 당기순손실액은 7237억 원(가결산)으로, 2023년 당기순손실 5173억 원보다 2064억 원 늘었다.
공사는 150원 요금이 오를 경우 올해 1300억 원, 내년부터 매년 1600억 원 이상의 증수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6월 28일로 요금 인상 시기를 확정한 기관들은 절차 마무리에 집중하고 있다. 코레일은 국토부에, 서울교통공사는 서울시에, 경기도 관할 의정부 경전철 등 운송기관들은 경기도에, 인천교통공사는 인천시에 각 요금 인상을 신고하는 등 요금 인상을 위한 절차들을 진행 중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6월 초 치러지는 대통령선거 여파로 등으로 인해 지하철 요금 인상 시기가 늦춰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서울시 관계자는 "각 기관들이 회의를 통해 6월 28일로 요금 인상 시기에 합의한 것은 사실이나 아직 운송기관별 운임신고 절차 등 행정절차가 남아 있어 운임임상 확정일자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고 했다.
jung9079@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