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 재발 방지"…반지하 골목 실시간 경보·빗물터널 착공(종합)
서울시 풍수해 대책 발표…기상청 핫라인 가동
"대심도 빗물 터널, 도심 홍수 대응 전환점 될 것"
- 이비슬 기자
(서울=뉴스1) 이비슬 기자 = 서울시가 여름철 풍수해 대비를 위해 관악·동작·영등포구 등 반지하 밀집 지역 골목 15곳에 실시간 수위를 감지하는 침수경보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도입한다.
하천 빗물 저류시설을 확충하고 기상청과 전용 핫라인을 구축하는 등 여름철 풍수해에 대응하기 위한 전방위 대책을 가동하기로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2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2025년 풍수해 대책 추진 현황 보고회에 참석해 주요 안전 대책을 점검했다.
오 시장은 "재난은 준비한 만큼 막을 수 있다"며 "오늘 이 자리가 시민의 생명을 지키겠다는 약속의 시작이 되기를 바란다. 서울의 안전은 우리 손에 달려있다는 각오로 임해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날 풍수해 안전대책 발표와 함께 시는 오는 15일부터 10월까지 '풍수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4시간 가동한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전국 최초로 반지하 밀집 지역에 시범 도입하는 침수경보시스템이다. 넓은 대로변에서만 설치가 가능했던 도로수위계 대신 레이더 센서를 활용한 소형 감지 장비를 가로등이나 전신주 등에 부착해 실시간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서울 전역에 설치한 강우량계와 도로수위계를 활용해 저지대 침수우려지역 실시간 수위 정보를 수집하고 수위 상승 시 경보를 발령한다. 침수예보가 내려질 경우 각 자치구는 주민에게 재난문자를 발송한다.
특히 반지하 세대 중 장애인·노인·아동 등이 거주하는 재해약자 1130가구에는 동행파트너 2887명을 미리 지정해 예보 발령 시 가구를 방문해 대피를 도울 예정이다. 동행파트너 제도는 서울시가 2023년 첫 도입했다.
오 시장은 "재난은 언제나 사회적 약자에게 더 깊은 상처를 낸다"며 "위험이 닥치기 전에 먼저 손을 내밀겠다"고 말했다.
지하차도와 하천 산책로 관리도 강화한다. 침수 위험이 있는 지하차도 98개소는 차도면 수위가 10㎝ 이상 침수되면 즉시 통제에 들어가며 하천 산책로에는 자동경보시설과 진출입 차단시설을 예비특보 단계부터 작동한다.
산사태 취약지역 492곳은 2~48시간 전 단위로 제공하는 산림청 예측정보를 활용해 사전 대피체계를 운영할 예정이다. 취약 지역 주민 대피를 위해 돌봄공무원, 통·반장 등 400여 명과 산사태 현장예방단 92명이 지원에 나선다.
시는 침수 예방을 위해 빗물그릇도 확충하기로 했다. 빗물그릇은 하천으로 갑작스럽게 몰리는 빗물을 공원 연못이나 호수 등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자연형 저류지다.
서울시는 현재 운영 중인 7개소에 이어 올해 서서울공원(중앙호수)·송파나루공원(석촌호수)·어린이대공원(환경연못) 등 5곳을 추가, 총 12곳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최대 75만 7000톤의 빗물을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정보 공유체계도 구축했다. 서울시는 수도권 기상청 기상센터와 서울시 재난안전상황실간 1:1 전용 핫라인을 개설하고 기상정보와 예보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서울시는 또 주요 침수우려지역 방재시설도 확충해 나가고 있다. 올해 강남역·도림천·광화문 일대에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착공에 돌입한다.
터널은 도심에 갑작스럽게 쏟아지는 빗물을 저장해뒀다가 배수하는 대규모 방재시설로 서울시는 2030년까지 빗물펌프장 9개소와 빗물저류조 3개소 신·증설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오 시장은 "서울시는 올해 강남역 일대 상습 침수 문제 해결을 위한 대심도 빗물 터널 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며 "터널은 시간당 110㎜의 비도 감당할 수 있는 도심형 홍수 대응 인프라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b3@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