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北, '김정은 치적 사업' 지방공장 건설에 농경지 희생시켜

38노스 "지방공장 단지, 대부분 농경지에 건설…성과 있을지 의문"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지방공업공장들에서 생산된 제품을 살펴보는 주민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dqdt.shop

(서울=뉴스1) 양은하 기자 = 북한이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지방발전 20X10 정책'에 따라 전국 각지에 지방공업공장을 건설하면서 상당수 농경지를 희생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5일(현지시간) 북한 각지의 지방공장 일대를 촬영한 위성사진을 분석해 북한이 건설하고 있는 공업공장 단지의 상당 부분이 그간 농경지로 사용하던 부지에 건설됐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 20개 공장 단지를 건설했고, 올해는 현재까지 18개 공장을 건설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대부분 단지 규모는 1만 5000~2만㎡ 정도다.

공장이 조성되는 지역 상당 부분은 농경지 일대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통신, 장풍, 송촌의 경우 채소 온실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새 공장 단지를 조성한 것으로 분석된다. 연탄과 온천 지역처럼 비닐하우스 농장 바로 옆에 새 공장을 건설한 지역도 있다.

매체는 "수도권 외 북한의 지방 도시와 마을들은 남는 토지 대부분을 농업에 활용하기 때문에 새 공장을 건설하면서 농지를 희생시키는 것이 불가피했을 것"이라면서도 "지역 간부들이 공장 건설에 필요한 작물을 포함한 자재를 직접 조달해야하는데, 농지를 희생시켰기 때문에 지방발전 정책이 계획이 장기적으로 성과가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함경남도 금야읍의 경우 기존의 협동농장이 새 공장과 새 주택으로 개조됐다. 북한이 추진 중인 농촌 살림집(주택) 건설 사업과 지방공업공장 건설 사업이 함께 진행된 것으로 추측된다.

북한은 최근 수년 사이 함경북도 중평온실농장, 함경남도 연포온실농장, 평양 강동종합온실농장 등 대규모 온실 농장을 연이어 건설했는데 이를 통해 먹거리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농경지를 공장 부지로 활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또 농경지를 공장으로 변경하는 것이 오히려 산업 현대화 수준을 높이고, 주민 생활 향상에도 더 좋을 것이라는 판단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지방발전 20X10 정책'은 매년 20개 시, 군에 향후 10년 동안 현대적인 지방공업공장을 건설해 지역의 경제를 살리겠다는 계획으로, 지난해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직접 구체적 사업 방안을 발표하는 등 최고지도자의 치적사업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yeh25@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