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통일부, '2025 통일백서' 발간…'8·15 통일 독트린' 성과 반영

'북한이탈주민의 날' 최초 제정 등 담아

통일부가 9일 발간한 '2025 통일백서' 표지 (통일부 제공)

(서울=뉴스1) 임여익 기자 = 통일부는 9일 지난해 정부가 추진한 통일·대북정책 성과를 담은 '2025 통일백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올해 백서에는 '8·15 통일 독트린'에 기반한 통일·대북정책 성과가 담겼다. 북한 주민들에 외부 정보를 유입해 자유통일에 대한 열망을 촉진하겠다는 내용의 통일 구상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광복절에 중장기 통일 비전과 전략으로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통일부는 북한인권 문제를 알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폈다. 19개 민간단체들과 손을 잡고 총 18억원 규모의 북한 인권 관련 사업을 진행했다. 북한인권 실태와 탈북민의 어려움을 담은 창작 오페라 공연 '냉면'을 처음 선보이는 등 문화예술 분야를 활용해 인권문제의 장벽을 낮추기 위해 노력했다.

통일부는 북한 인권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와의 연대에도 주력했다. 지난해 정부는 제55차 유엔인권이사회 및 제79차 유엔총회의 북한인권결의안에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고, 북한 제4주기 보편적정례인권검토(UPR)에도 참가했다.

특히, UPR을 앞두고 우리 정부는 15년 만에 사전질의에 나서며 인권문제에 대한 북한측의 답변을 촉구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정부는 질의를 통해 납북자 문제, 이산가족 상봉 문제, 북한 내 여성과 아이들의 인신매매 및 성폭력 문제 등을 지적했다. UPR에서 한국인 납북자 문제가 다뤄진 건 당시가 처음이었다.

또한, 지난해 통일부는 사업비 총 260억원을 들여 서울 마곡동에 국립북한인권센터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통일부가 '북한 인권 랜드마크'로서 구상한 이곳은 올해 상반기에 착공해 내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날'(7월 14일)도 지난해 처음 제정됐다. 통일부는 남북한을 모두 경험한 이들의 경험과 지식을 통일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면서, 이들에 대한 인식 개선과 정착 지원 정책을 강화했다.

김영호 장관은 "지난해 통일의 지향점을 분명히 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이고 의미있는 성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며 "이번 통일백서가 국민께 우리 정부의 통일 정책을 깊이 이해하고 향후 과제를 함께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2025 통일백서는 정부기관, 민간단체 및 연구기관, 공공도서관, 언론 기관 및 관계 분야 전문가 등에 배포되며,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통일부 홈페이지에도 게재될 예정이다.

plusyou@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