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한-시리아 수교' 추진에…북한 '외교적 고립' 불가피

전문가 "北, 외교적 타격 있겠지만…경제·군사 리스크는 미미"

시리아 반군이 수도 다마스쿠스를 점령하면서 사실상 13년간 이어진 내전에 종지부를 찍은 가운데 8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시티역 광장에 모인 시리아인들이 아사드 정권 붕괴에 환호하고 있다. 2024.12.9/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임여익 기자 = 정부가 과거 대표적인 '친북 국가'였던 시리아와의 수교를 추진 중이라고 밝히면서 북한은 외교적으로 더욱 고립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11일 국제사회 동향과 시리아 측의 의사를 바탕으로 "시리아와의 수교 관련 검토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리아는 현재 유엔 회원국 193개 가운데 유일하게 한국과 수교관계를 맺지 않은 나라다.

지난해 '북한의 형제국' 쿠바에 이어 시리아까지 한국과 수교를 맺을 것으로 보이면서 국제사회에서 북한이 갖는 운신의 폭은 점점 좁아지고 있는 모양새다.

시리아는 지난 1966년 북한과 수교를 맺고 정치·군사적 우호관계를 이어왔다. 이후 양국이 국제사회의 눈을 피해 핵·미사일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는 의혹이 줄곧 불거져왔다.

특히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와 알 아사드 전 시리아 대통령은 꾸준히 서신을 주고받는 등 개인적으로도 가까운 사이를 유지해다. 하지만 지난해 말 아사드 정권이 긴 내전 끝에 사라지고 새로운 과도정부가 들어서면서 시리아는 북한과 더욱 멀어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반미·반제국주의' 구호를 내세우던 북한에 유럽과 아시아 중간에 위치한 시리아는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연대세력이었다. 실제로 시리아는 북한이 서구로부터 무기 등을 밀반입해 오는 경유지의 역할을 해오기도 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번 수교가 북한에 미치는 영향이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외교적 차원에서 북한이 또 하나의 우방국을 잃었다는 '상징적 의미'는 있지만, 그간 시리아와 북한의 관계가 다소 이완됐던 만큼 '실질적 리스크'는 미미할 것이라는 얘기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시리아의 내전이 장기화하고 북한이 손잡아 온 아사드 정권이 몰락하는 긴 과정에서 이미 양측 간 교류는 예전에 비해 많이 줄었다"고 진단했다. 주시리아 북한 대사관 역시 아사드 정부 붕괴 이후 철수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번 수교로 인해 북한이 대외전략을 일부 수정하거나 외교 관련 인물을 교체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 역시 전면적인 수준은 아닐 것이라는 관측이다.

북한이 작년 한국과 쿠바 수교 이후 주쿠바 대사를 교체했는데, 이번에도 고위급 인사가 아닌 실무자 교체 정도가 이루질 수 있어 보인다.

한편 이번 수교로 인해 북러 간 밀착관계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그간 국제사회에서 자발적으로 고립을 택하며 러시아에 '올인' 전략을 보여온 북한이 최근 얼마 남지 않은 우방국을 하나둘씩 잃으면서 러시아와의 관계에 더욱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plusyou@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