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기동하는 북한군…러 파병 '실전 경험' 남침 전술에 도입
적진 침투 '속도전' 훈련 진행…'만능대대' 새 부대 개념도 등장
- 최소망 기자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북한이 '만능대대'라는 새로운 부대 개념을 만들고 드론 운용 등 새로운 훈련 전술도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해 쌓은 실전 경험을 대남 침투 전술에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 14일 제기된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김정은 당 총비서가 지난 13일 조선인민군 병종별 전술종합훈련을 참관했다고 13일 보도했다. 김 총비서는 특수작전구분대(특수부대)들의 전술종합훈련, 전차병구분대(탱크부대)들의 대항 경기, 시범화력협동훈련을 참관했다.
신문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무장한 인민군이 탄 고무보트나 탱크가 부교 없이 얕은 강을 건너는 도강 훈련, 각종 지형지물 통과 훈련 등이 진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각종 특공무술 훈련은 물론 다양한 방식의 육탄전 훈련 장면도 공개됐다. 길리슈트(위장복)를 입은 저격병도 훈련에 참가했다.
가장 눈에 띈 것은 러시아 파병 북한군에 큰 타격을 입힌 드론을 도입한 모습이었다. 한 병사가 드론을 조종하고 그 주위를 4~5명의 병사가 엄호하는 형태로 작전을 수행하는 듯한 장면이 공개됐는데, 이들이 운용 중인 것이 공격용 드론인지, 정찰용 드론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북한이 이러한 훈련 모습을 공개한 것은 러시아 파병을 통해 얻은 실전 경험으로 현대전에 걸맞은 전투력을 갖췄음을 과시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문제는 지상 병력 및 탱크의 속도전식 침투는 '남침 전술'의 하나로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북한이 러시아로 추가 파병을 추진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공개된 이같은 훈련은, 북한이 '남침 전술'에 실전 경험을 반영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실제 김 총비서는 "현대전의 발전 양상과 변화 추이에 맞게 인민군대 각급에 훈련 중시 기풍을 철저히 세우고 실전훈련에 주력하도록 한 결과 전군에 과학적 전투훈련체계가 수립됐다"라고 강조했다.
북한은 또 대대 기준으로 일련의 훈련 기준을 통과하면 '만능대대'라는 호칭이 부여됨을 시사했다. 만능대대는 적진 침투, 돌파, 드론전 등 다양한 방식의 작전이 가능한 부대로 추정되는데, 북한군이 각 전선에 만능대대를 전진 배치해 위협 수위를 높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다만 이번에 공개된 훈련들이 지난해 공개된 북한 특수부대의 훈련과 내용 면에서 유사하다는 점에서 전례 없던 수준의 새로운 전술이 등장한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미가 북한의 참전 경험이 군 전력 증강에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니 북한이 의도적으로 관련 능력을 극대화해 보여주려고 한 것"이라면서 "일종의 대남 심리전 차원으로, 북한이 우크라이나전 참전을 통해 현대전 경험을 가지게 됐다는 것을 과시하고자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somangchoi@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