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구축함 파손' 본격 조사 착수…책임자 구속·조사 절차 돌입
파손 정도 심각하지 않아…현측 복구에 10여일 소요 판단
- 임여익 기자
(서울=뉴스1) 임여익 기자 = 북한이 새로 건조한 5000톤급 신형 구축함 파손 사고와 관련해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아울러 책임자들을 구속하고 조사하기 위한 절차에도 돌입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3일 '구축함 진수 사고조사그룹'이 청진조선소에서 발생한 중대사고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사고조사그룹에는 검찰기관과 해당 전문가들이 망라됐다고 한다.
신문에 따르면 이들은 "초기발표와 달리 선저 파공은 없으며 선체 우현이 긁히고 선미 부분의 구조통로로 일정한 양의 해수가 침수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침수 격실의 해수를 양수하고 함수부분을 이탈시켜 함의 균형성을 회복하는데 2~3일, 현측 복구에 10여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했다.
이를 보고받은 당 중앙군사위원회는 함의 복구조치를 취하는 것과 별개로 사고원인과 그 책임을 확인해야 한다면서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사고가 발생한 원인과 그에 책임 있는 당사자들을 조사적발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법기관에서 사고에 대한 책임이 명백한 대상들을 먼저 구속하고 조사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갔으며 가장 먼저 홍길호 청진조선소 지배인이 법기관에 소환됐다.
당 군사위는 "아무리 함의 상태가 양호하다고 해도 이번 사고가 용납될 수 없는 범죄적 행위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으며 책임있는 자들은 절대로 자기들의 죄과를 무마시킬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고를 중대사건화하는 것은 함의 파손유무나 경제적 손실때문이 아니라 그 어느 부문이나 할 것 없이 만연되고 있는 무경각, 무책임성과 비과학적인 경험주의적 태도에 강한 타격을 주고 경종을 울리자는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고와 관련한 간부들에 책임을 물으면서 동시에 내부 기강 잡기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앞서 신문은 지난 21일 김정은 당 총비서가 지켜보는 가운데 동해 청진조선소에서 5000톤급 구축함 진수식을 진행하다가 '엄중한 사고'가 발생해 진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고 22일 보도한 바 있다.
현장에서 이를 지켜본 김 총비서는 "있을 수 없고 용납할 수 없는 심각한 중대 사고이며 범죄적 행위"라고 크게 질책하면서 사고 조사와 함께 책임자 문책을 예고했다. 또 오는 6월 말 소집 예정인 당 전원회의 개최 전까지 파손된 구축함 복원을 끝낼 것도 지시했다.
plusyou@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