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손짓'에도 일단 모른척…제 갈 길 가는 북한
북한, 최고인민회의 개최…트럼프 언급 등 대미 메시지 없어
트럼프의 구체적 액션 지켜볼 듯
- 임여익 기자
(서울=뉴스1) 임여익 기자 = 한국의 정기 국회 격인 '북한 최고인민회의' 결과가 24일 공개됐지만,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회의에 불참한 가운데 미국의 새 정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한 메시지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22일부터 이틀간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2차 회의가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이번 회의에는 김정은 총비서 없이 박태성 내각총리와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등 주요 간부들만 참석했다.
신문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서는 예고된 바와 같이 2024년 국가예산집행의 결산과 2025년 국가예산에 대한 문제, 중앙재판소의 2024년 사업정형에 대한 문제, 사회주의헌법의 일부 조문을 수정함에 대한 문제 등 대내적인 사안들이 주로 다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직후 열린 이번 최고인민회의에서 김 총비서가 새로운 대미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던 상황이었지만 북한은 이번에도 '신중 모드'를 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북한은 최근 수년 사이 매년 12월 '당 전원회의'를 열어 한해의 정책 성과를 결산하고 내년 국정운영 방향을 결정하는데, 이듬해 1월 개최되는 '최고인민회의'는 전원회의 결정을 내각 차원에서 실질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후속조치를 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연말 전원회의에서 대미 '최강경 대응 전략'을 펼칠 것을 예고한 바 있어 이번 최고인민회의에서 김 총비서가 미국을 겨냥한 발언을 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북한에 우호적인 메시지를 쏟아내면서, 북한이 전격적으로 북미대화에 호응하는 반응을 내놓을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최고인민회의에서 이렇다 할 메시지가 나오지 않은 것은, 미국의 대북정책이 좀 더 선명해질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인 지난 20일(현지시간)부터 "난 김정은과 매우 우호적이었고 그는 나를 좋아했다"면서 북한을 '핵보유국(nuclear power)'이라고 언급하는 등 북한을 향한 메시지를 빠르고 과감하게 내놓고 있다.
북한 입장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불확실성 역시 신중함을 키우는 요소다. 그간 북한은 해당 전쟁을 계기로 러시아와 군사적 경제적 밀착 관계를 형성해 왔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적극적인 중재를 통해 종전 협의가 가속화되면 북한은 대외 전략을 다시 구상해야 하기 때문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이번 회의에서) 김정은 총비서의 시정연설 부재는 올해 대미·대남 관계에서 북한의 신중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라면서도 "앞으로 트럼프 정부의 대북정책이나 미국 고위 인사들의 대북 언급 수위, 상반기 한미연합훈련 여부 등이 북한의 태도를 바꿀 분수령이 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plusyou@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