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전 종전 협상' 급물살…거침없던 북러 질주도 막히나
"北, 러시아 부족한 무기 수요 파악해 밀착 이어갈 것"
"美의 다음 화두는 북핵…러시아도 북한 문제 개입 시도할 것"
- 유민주 기자
(서울=뉴스1) 유민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전의 종전을 위한 대화를 본격화했다. 우크라전을 활용해 러시아에 밀착해 반대급부를 얻어온 북한도 새로운 외교적 셈법이 필요한 상황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은 지난 2023년부터 러시아에 무기를 지원하면서 우크라전에 개입했다. 지난해 10월엔 1만 명이 넘는 군대를 파병하며 실제 참전까지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상호 유사시 군사적 지원'이 명시되며 '준 군사동맹'으로 평가받는 북러 간 새 조약이 맺어지기도 했다.
이처럼 북러 간 밀착은 기본적으로 우크라이나라는 '공동의 적'이 있었기에 활성화될 수 있었다. 러시아는 전쟁의 장기화로 인한 국력 손실을 북한의 지원으로 일부 메울 수 있고, 북한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러시아에 인력과 무기를 지원하는 '헌신'을 통해 러시아로부터 경제적 지원은 물론 첨단 무기와 군사적 기술 등 높은 수준의 반대급부를 받는 구상으로 참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는 미국의 개입으로 종전이 성사된다면, 러시아의 입장에선 북한의 필요성이 낮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북한은 '혈맹'이라는 전통적 우방인 중국과의 관계가 소원해지는 것을 감안하면서 러시아와 밀착했기 때문에, 우크라전의 종전 논의가 속도를 낼수록 외교적 셈법 마련에 급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각에서는 우크라전 종전이 북한이 미국으로 시선을 돌리게 될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전망한다. 외교를 통해 정치·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해야 하는 북한의 입장에선, 러시아와 거리를 두게 된다면 트럼프 대통령의 '대화 손짓'이 탐나는 카드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점에서다.
다만 다수의 전문가들은 당장 종전 협상이 개시되더라도, 북러 간 밀착이 이어질 요인도 상당하다고 보고 있다. 미국이 중재자로 나서더라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입맛에 맞는 해법을 찾기 전까진 국지전이 이어질 수 있어 북한의 군사력에 대한 수요는 이어질 것이라는 점에서다.
또 종전 전에 '휴전'이 먼저 선포될 가능성도 높은데, 이 경우 치열한 전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작아 오히려 러시아 측에서 더 많은 북한군의 파병 및 전선 주둔을 요구하고, 북한의 대러시아 무기 지원이 활성화될 수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임을출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러시아가 전쟁 장기화로 병력 손실이 크고, 재래식 무기가 많이 소진된 상황"이라며 "소진된 무기를 채우는 데 몇 년의 시간이 걸릴 것이기 때문에 북한과 긴밀한 군수물자 혹은 무기공급망(네트워크)이 만들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라고 짚었다.
김인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도 북한에 대한 러시아의 군사적 수요 감소가 정치·외교적 수요 감소로 곧바로 이어질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봤다.
김 수석연구위원은 "러우전쟁 이후 다음 이슈가 북핵 문제, 한반도 문제가 쟁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라며 "특히 북핵 문제에서도 러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있기 때문에 북러 상호 간 전략적 활용이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youmj@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