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北 파손 구축함 2호, 전손 가능성 있어…청진조선소 경험 부족 원인"

'분단을 넘어' 위성사진 분석…북한 "함의 상태 양호"

진수 도중 사고로 파손된 북한의 신형 구축함이 균형을 잃고 해상에 누워 있다.(소셜네트워크서비스 엑스(X) 'MenchOsint' 계정 갈무리.)

(서울=뉴스1) 유민주 기자 = 북한이 진수 과정에서 넘어진 5000톤급 구축함 2호의 파손 정도가 심각하지 않다고 발표한 것과 달리 상당한 손상으로 전손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분단을 넘어'(BEYOND PARALLEL)는 22일(현지시각) 최근 공개된 위성사진을 분석해 북한의 두 번째 구축함이 상당한 손상을 입은 것이 확인됐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위성사진을 보면 넘어진 구축함이 바다 위에 파란색 방수포로 덮여 있고 주변에 크레인 바지선과 기타 지원 선박으로 둘러싸여 있는 모습이다.

매체는 북한의 최초 보도대로 선수 아래의 대차(함정을 옮길 때 사용되는 바퀴가 달린 차)가 난간에 걸리거나 떨어져 선미가 먼저 튕겨 나가고 선수는 측면 활주로에 그대로 남아 있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만약 갑판 바지선들이 측면 활주로 레일에서 작업 중이었고, 작업이 세심한 점검과 검토 없이 진행되었다면 이것이 진수 사고의 근본 원인이었을 가능성이 있다"며 "측면 활주로 진수에는 선박의 상당한 구조적 강도가 필요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매체는 청진조선소의 경험 부족도 원인으로 지목했다. 북한 함경북도의 청진조선소는 주로 화물선, 어선, 준설선을 건조해 온 곳으로 이번 구축함과 같은 대형 군함의 건조나 진수에 대해서는 전문 지식이 부족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아직 함선의 손상 정도나 전손 여부, 수리 기간 등은 불확실하지만 두 번째 최현급 구축함이 조만간 배치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전손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1일 김정은 당 총비서가 지켜보는 가운데 동해 청진조선소에서 5000톤급 구축함 진수식을 진행하다가 '엄중한 사고'가 발생해 진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고 22일 보도했다.

당시 신문은 "진수 과정에서 미숙한 지휘와 조작 부주의로 인해 대차 이동이 평행하게 이뤄지지 못했다"라며 "이로 인해 함미 부분의 진수 썰매가 먼저 이탈됐고, 일부 구간의 선저 파공으로 함의 균형이 파괴되며 함수 부분이 선대에서 이탈되지 못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이날 구축함 사고 관련 초기 발표와 달리 "선저파공은 없으며 선미 부분의 구조통로로 일정한 양의 해수가 침수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함의 상태가 양호하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함의 균형성을 회복하는데 2~3일, 현측 복구에 10여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했다.

youmj@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