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민주당 현역의원 '주52시간 예외' 첫 찬성…이소영 "노동 다양해져"

"AI 등 첨단산업 고연봉 노동자 한해 적용 생각해 봐야"
"노동 다양화 현실 무시하는 측면…진보·보수 문제 아냐"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위원이 11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대전본사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2024.10.11/뉴스1 ⓒ News1 김기태 기자

(서울=뉴스1) 심언기 김지현 기자 = '주 52시간 적용 예외' 논쟁이 불붙은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에서 이에 찬성하는 의견이 21일 처음 나왔다.

이소영 민주당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와 인터뷰에서 "주 52시간 예외는 저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왜냐하면 이게 노동시간을 늘리냐 단축하냐라는 관점을 떠나서 노동이 다양해졌기 때문"이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딥시크나 챗GPT를 만드는 사람들을 전통적인 노동자의 기준으로 근태관리를 하고 노동시간을 규제한다라고 하는 게 노동이 다양해진 현실을 좀 무시하는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이 의원은 "저는 이걸 반도체법에서 얘기하는 게 좀 웃긴다는 생각"이라며 "오히려 AI든 2차전지든 새로운 첨단산업에서 R&D 인력, 그중에서 고연봉 노동자에 한해서 범위를 좁혀서 이걸 무슨 옛날에 전통적으로 자본가한테 종속된, 생산수단에 종속된 그런 노동자들이 아니라 각자가 스스로 생산수단을 가지고 있는 인재들에 대한 측면에서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그는 "사실 이것도 진보와 보수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미래산업 생태계 변화 추이에 따라 유연함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야는 반도체특별법에 근로시간 특례를 포함할지 여부를 놓고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민주당은 주 52시간 총량 유지를 전제로 탄력적 근로시간 적용을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 원외 인사 중에선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민주당이 양보해야 한다"고 말했고,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도 "보호해야 할 노동자는 확실히 보호하고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처럼 고액 연봉자는 제외하자"고 찬성 입장을 밝힌 상황이다.

eonki@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