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여성·소수자 안띄우는 민주…'2030 공략' 우클릭 작전
2030 띄우면서도 '핵심 지지층' 여성·소수자 논의는 신중 모드
'집토끼' 2030 여성들 이탈 우려…"정치권, 성평등 논의해야"
- 임세원 기자
(서울=뉴스1) 임세원 기자 =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더불어민주당이 캐스팅보터인 2030 세대 잡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핵심 지지층인 여성과 소수자 정책에 대한 논의는 의도적으로 삼가고 있어, 기존의 진보 가치를 잃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월 4주 차 전국 지표조사(NBS) 결과, 2030 세대의 무당층 비율은 36%에 달했다.
청년층 포섭이 대선 승패를 가를 핵심 변수로 떠오른 만큼 민주당은 최근 청년층 지지를 얻기 위한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국대학생위원회·청년위원회 등 청년 조직을 구성하며, 청년 주거권과 일자리 등 보편적 청년 정책을 전면에 내세우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젠더·소수자 이슈에 대해서는 의도적으로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민주당은 대선 과정에서 특정 성별을 겨냥하지 않은 '젠더 통합' 기조로 접근하겠다는 방침이다. 특정 성별을 위한 정책을 내세웠다가 자칫 성별 갈등 프레임에 휘말려 표심을 잃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지난달 6일에는 동덕여대 학생 인권침해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로 했다가 하루 전날 돌연 취소하면서 일각에서는 여론을 과하게 의식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민주당은 최근 공약 발굴 작업을 본격화하며 광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겠다고 밝혔으나, 사실상 광장의 주역으로 떠올랐던 2030 여성에 대한 논의는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지난달 20일 성평등 정책과 의제 발굴을 위해 '전국여성위원회'를 발족했지만, 구체적인 정책 활동은 대통령 파면 뒤로 미뤄두고 있다. 여성위 소속의 한 의원은 뉴스1과의 통화에서 "2030 여성들의 용기와 헌신에 보답하는 민주당의 역할을 분명히 할 것"이라면서도 "우선 파면이 돼야 할 수 있는 일들이고, 특별히 뭘 할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말했다.
소수자 관련 정책과 논의도 후퇴하는 분위기다. 최근 민주당 인권위원장 출신 주철현 국회의원은 자신의 SNS에 "우리 민주당은 차별금지법을 추진한 적이 없고, 추진하고 있지도 않다"고 밝혔다. 며칠 뒤 조승래 수석대변인도 기자간담회에서 "22대 국회에서 (차별금지법에 대한) 공식 입장을 논의하거나 정리한 게 없다"라고 선을 그었다.
당은 최근 청년과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비과세 혜택 확대 추진을 공식화했다. 또한 최근 게임·e스포츠 정책 연구를 목표로 '게임특별위원회'를 출범했는데, 이는 사실상 지지 기반이 약한 '이대남(20대 남성)'의 지지율을 높이기 위한 포석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같은 민주당의 '전략적 침묵'에 민주당의 핵심 지지층이자 광장의 주역으로 자리 잡았던 2030 여성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외면당하고 있다는 불만도 나온다.
최근 민주당은 '중도 우파' 노선을 공식화하며 경제 성장과 보수층으로의 외연 확장을 우선시하는 전략을 택하고 있는데, 이러한 행보가 기존 지지층을 소홀히 하는 것으로 비칠 경우 오히려 '집토끼' 이탈만 부추길 가능성이 크다.
지난 20대 대선 당시 이재명 대표를 지지했던 30대 여성 A 씨는 "민주당이 지난 대선 당시에는 동아줄이라도 잡으려는 심정으로 여성 정책을 냈던 것 같은데, 현재는 대선 승리에 유리한 형국이라 생각하는지 언급조차 없는 것 같다"며 "더 이상 찍고 싶은 당이 없다"고 말했다.
진보 정치권에서도 민주당이 젠더 이슈를 외면하는 것이 대선 전략으로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지난 21대 국회에서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대표 발의했던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은 이날 뉴스1과의 통화에서 "윤석열 정치가 반여성 정치에 편승하는 것으로 시작됐기 때문에 성평등을 정치의 공간에서 제대로 대변하는 것은 민주주의 회복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퇴진과 민주주의 회복을 외치면서 반여성주의 기조에 편승하거나 외면하고 방치하는 것은 모순적인 형태"라며 "원내의 모든 정당이 반여성 정치와 성평등 정치에 대한 회복의 메시지를 내야 한다"고 했다.
say1@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