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화 룰 샅바싸움 앞둔 '빅텐트'…"판 깨질 가능성 배제 못해"
2021년 서울시장 국민여론조사로…'백지장 지지율' 진통 예고
후보간 유불리 신경전…'차차기 행보' 이준석 합류 불투명
- 서상혁 기자, 박기범 기자
(서울=뉴스1) 서상혁 박기범 기자 = 국민의힘 대권 주자들이 모두 빅텐트에 찬성 입장을 밝히면서 출마가 유력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포함한 '보수 빅텐트'는 사실상 상수가 됐다.
변수는 단일화 '룰'이다.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는 말처럼 단일화 조건을 두고 주자 간 샅바싸움이 빅텐트 성사를 좌우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과거 국민의힘은 '국민여론조사' 방식을 통해 외부 후보와 단일화를 성사시킨 경험이 있지만 전례를 따를지는 미지수이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안철수·한동훈·홍준표(가나다순)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최근 보수 빅텐트에 대해 모두 긍정적인 의사를 표했다. 일찍이 빅텐트 의지를 밝힌 김문수 후보까지 합치면 국민의힘 1차 경선을 통과한 4명 모두 빅텐트 가능성을 열어뒀다. 국민의힘 경선 이후 외부 후보와의 단일화는 기정사실화가 된 셈이다.
관건은 단일화 규칙이다. 우선 보수 진영에서는 큰 틀에서 과거 전례에 따라 일반여론조사 방식이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지난 2021년 재보궐 당시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였던 오세훈 후보와 국민의당 후보는 100% 무선 방식의 여론조사로 단일화를 이룬 바 있다.
단일화 규칙은 지지율이 더 낮은 쪽 또는 당 외부에 있는 후보 쪽에 유리하게 정해지는 게 정치권의 관례이긴 하다. 그러나 꼭 전례를 택할 필요는 없는 만큼 후보간 유불리에 따라 신경전을 벌일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국민여론조사를 실시할 경우 역선택 방지 조항 적용 여부를 두고 이견이 있을 수 있다. 민주당 인사까지 포함하는 '그랜드 텐트'가 펼쳐질 땐 이 조항을 두고서 격론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만약에 성사가 된다면 밖에 있는 후보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해야 하는 상황이 올 것"이라며 "다만 국민의힘 경선에서 최종 선출된 후보도 마냥 손해를 볼 수 없으니 기싸움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 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조건없는 단일화를 이룬 바 있다. 다만 이번 대선의 경우 보수 진영 주자 간 지지율 차이가 크지 않은 만큼 '흡수' 형식의 단일화 가능성은 희박하다.
한덕수 권한대행이 국민의힘에 입당해서 경선을 치르는 방식도 배제할 수 없다. 대선 후보 등록일인 5월 11일 전에 국민의힘에 입당해 후보 간 단일화를 이루는 방식이다. 이 경우 두 후보는 국민의힘 당헌에 따라 당원 투표 50%·일반여론조사 50%' 룰로 '원샷 경선'을 치를 가능성이 있다.
보수진영 관계자는 "한 권한대행이 당에 입당해 원샷 경선을 치른다면 룰 자체를 둘러싼 시비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나머지 후보들이 형평성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이라고 했다.
범보수권 후보로 거론되는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를 빅텐트로 어떻게 끌고 올지에 대해서도 국민의힘 내 의견이 분분하다. 당내에서는 이번 대선에서 이 후보가 일정 수준 이상의 표를 가져갈 가능성이 높은 만큼 반드시 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개혁신당은 최근 "단일화를 논의할 이유도, 의지도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A캠프 관계자는 "과거 DJP 연합처럼 책임총리 등에 준하는 권한을 약속하는 식으로 빅텐트 제의를 할 수 있지 않겠나"라고 했다.
후보에 따라 아예 판이 깨질 가능성도 있다. 과거에도 크고 작은 선거에서 단일화를 추진하다 규칙에 합의하지 못하며 백지화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모 국민의힘 의원은 "방법, 형식, 시기, 참여 인원 등 변수가 너무 많다"며 "여기에 하나라도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결국 판은 깨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hyuk@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