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 아들' 이재명 '尹과 이격' 김문수…타깃은 중도층
"재맹이가 남이가" 이재명 이틀째 영남 집중…보수 인사 영입
지각 출발한 김문수 '지지층 결집+중도층 공략' 투트랙 전략
- 한상희 기자
(서울=뉴스1) 한상희 기자 = 6·3 조기대선이 2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양당은 중도·무당층을 잡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경북의 아들 이재명"이라고 호소하며, 이틀째 대구·경북·부산·경남 등 보수 지지 기반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지지층 결집과 중도층 공략을 위한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최근 대통령 후보 강제 교체 파동으로 지지층 이탈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을 두고 고민이 깊어지는 분위기다.
14일 뉴스1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12~13일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에게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중도층에서 이재명 후보는 56%의 지지를 얻었고, 김문수 후보는 22%로 격차가 34%포인트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중도층 탄핵 찬성 여론이 70%에 달했던 만큼, 정권 교체론이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후보는 전날 경북 구미·대구·경북 포항·울산에 이어 이날도 부산·경남 창원·통영·거제를 찾는 등 유세 초반 영남권 중심 행보를 이어갔다. 전날 구미역 유세에서 "'재맹이가 남이가' 이렇게 이야기 좀 해달라"고 지지를 호소했고, 대구 동성로 집중유세에서도 "김대중 정책이면 어떻고 박정희 정책이면 어떻냐"고 말했다.
이 후보가 유세 초반 보수 텃밭인 영남권에 집중적으로 공을 들이는 것은 외연 확장을 통해 통합 이미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또 민주당 관계자는 "영남을 기반으로 한 정당이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중도 확장 전략 이른바 동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도층 공략의 또다른 핵심 축은 인사다. 그 중 대표적인 인사는 중앙선대위 상임총괄선대위원장으로 합류한 '보수 책사'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이다. 경북 안동 3선의 권오을 전 한나라당 의원, 경북 칠곡 3선의 이인기 전 한나라당 의원, 이명박(MB) 정부 인사 이석연 전 법제처장 등도 공동 국민대통합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북 문제와 관련해 일정 부분 거리두기를 하는 것도 중도 확장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 후보의 10대 공약에는 한반도 군사적 긴장 완화, 한미동맹 기반 하의 전시작전권 환수 추진 정도만 포함됐고 유세 현장에서도 거의 언급하지 않고 있다.
반면 열세 국면인 김문수 후보는 '지지층 결집+중도층 공략'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12일부터 사흘 연속 대구와 부산 등 영남권 중심의 유세를 이어가며 지지세를 다지기 위한 행보를 보였다.
박정희 리더십도 강조했다. 대구·경북 선대위 출정식에서는 "박 전 대통령 묘소에 침을 뱉던 제가 당신의 무덤에 꽃을 바친다"고 언급했고,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에서는 "박정희 전 대통령은 훌륭한 과학자를 찾아 포스코, 자동차, 조선, K-방산을 확실히 밀어줬다"며 우주항공산업에 대한 전폭적 지원을 약속했다.
선거운동을 늦게 시작한 데다, 강제 후보 교체 파동으로 영남권에서도 지도부에 대한 불만이 적지 않다. 이에 김 후보는 지지층 결집을 최우선으로 하고, 이후 중도층을 겨냥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에서 거리를 두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김 후보는 계엄 사태에 대해 처음으로 공식 사과하며 변화된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지난 12일 대구 유세 직후 "계엄으로 고통을 겪는 국민에게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한 바 있다.
이튿날에는 윤 전 대통령 출당에 대해 "현재 생각해 본 적 없다. 도리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지만, 14일에는 윤 전 대통령 자진 탈당설에 대해 "대통령이 잘 판단할 것으로 생각한다. 대통령의 판단을 존중하는 것이 옳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내정된 김용태 의원은 전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 출당 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당내의 컨센서스를 도출해 국민 상식에 맞는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중앙선대위 핵심 관계자 역시 통화에서 "계엄에 대해 대국민 사과하고, 탄핵 반대에 대한 사과도 해야 한다. 윤 전 대통령도 출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과의 완전한 결별 없이는 중도층 표심 확보가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 안도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에서는 "윤 전 대통령이 정무적으로 판단할 시간을 충분히 갖고 있다"는 얘기가 나왔다.
비대위원장 지명 후 첫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계엄은 잘못됐다. 뼈아프게 반성한다"고 사과를 한 김 의원은 전방위적인 통합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채상병 묘역을 참배한 데 이어 서울 보라매공원에 위치한 산업재해 희생자 위령탑을 방문했다.
angela0204@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