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김문수 추격에 '내란 프레임' 앞세우고 각종 논란 '정면 돌파'
[6·3 대선 D-9] 이재명 "이번 대선, 단순 정권 교체 아냐"
'비법조인·연임제·가족 도덕성' 진화…"정치 보복도 없다"
- 한병찬 기자
(서울=뉴스1) 한병찬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대통령 선거가 9일 앞으로 다가온 25일 "내란 종식과 국민 승리의 도구가 되겠다"며 '내란 심판론'을 재차 부각했다. 보수층 결집과 함께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이 후보를 한 자릿수로 추격하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자 이번 대선의 의미를 상기시키며 전열 재정비에 들어간 것이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공식 선거운동 돌입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번 대선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과 탄핵으로 인해 치러지는 조기 대선임을 강조했다.
핵심 키워드는 '내란 종식·민생경제 회복·국민통합'이었다. 그는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권 교체가 아니라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는 선거"라며 "국민과 함께 내란을 막아낸 이재명이 내란 종식과 국민 승리의 도구가 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지휘하는 '비상경제대응 TF'를 구성해 무너진 민생경제를 회복하고 거부권 제한과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 등을 약속하며 대통령의 권한을 분산하겠다고 공언했다. 내란 세력의 죄는 단호하게 벌하되 특정인을 겨냥해 과녁으로 삼는 정치 보복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김 후보와의 격차가 한 자릿수로 빠르게 좁혀지자 내란 심판론을 꺼내든 것으로 보인다. 당초 이 후보는 '통합'과 '비전'에 무게를 뒀지만 보수 진영 후보 간 단일화 가능성까지 감지되자 '내란 세력 대 헌정 수호 세력' 프레임을 강화해 흔들리는 중도층을 끌어안기 위한 전략을 펼친 것이다.
이 후보는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에게는 '단일화는 야합' 프레임을 씌우며 압박에 나서기도 했다.
그는 보수 진영 단일화 전망에 대해 "단일화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거의 확실하다고 생각한다"며 "이준석 후보도 밀려 나왔을 뿐 국민의힘 대표를 했기 때문에 다시 합쳐서 보수정당의 주도권을 갖고 싶어 하는 것 같다. 본색대로 단일화할 것으로 보이고 그에 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김문수-이준석 단일화'에 대한 김빼기 전략으로도 읽혔다.
이 후보는 이날 77분 가량 간담회를 하면서 경제 현안부터 민감한 정치적 현안까지 여러 질문에 가리지 않고 답했다. 특별한 변수를 만들지 않는 '로키(low-key)' 전략에서 벗어나 민주당과 본인에게 제기된 각종 논란에 상세히 답변하며 정면 돌파에 나선 것이다.
논란의 불씨가 선거판을 삼키기 전 이 후보가 직접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이 후보는 당내 일각에서 비(非)법조인을 대법관으로 임명하는 법안이 발의된 것에 대해서는 "저도 법조인이지만 비법률가에게 대법관의 문호를 개방하는 문제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게 아니다"며 "지금은 민생 문제 등 급한 일이 훨씬 많다"고 말했다.
헌법 개정과 정치 보복에 대해서도 진의를 의심하지 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대통령 4년 연임제 개헌 문제와 관련해 "재임 중 대통령은 적용하지 않는다고 헌법에 쓰여 있지 않나. 의심을 거둬주길 바란다"고 말했고, 정치 보복 문제에 대해서는 "저는 유치하게 '당신들도 당해봐' 이렇게 졸렬하지 않다"고 했다.
이 후보는 또 김 후보가 도덕성 측면에서 우위 전략을 가지려 하는 것에 대해서는 "나도 우리 가족도 부정부패를 저지르지 않는다"며 "철저하게 관리해서 주변 사람들이 실제 부정부패를 저지르거나 범죄에 연루돼서 권력을 이용해 막아야 할 그런 일이 없다"고 밝혔다.
bcha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