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尹 임기 단축 개헌? 이미 늦었다…12월14일 탄핵 표결前 했어야"
- 박태훈 선임기자
(서울=뉴스1) 박태훈 선임기자 = 국민의힘 원내대표, 중앙위 의장을 지낸 김성태 전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임기단축 개헌' 카드를 탄핵안 표결 전에 이야기했다며 헌법재판소에 가는 일은 없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김 전 의원은 26일 오후 YTN라디오와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이 지난 25일 헌재 최후진술에서 탄핵소추안이 기각돼 대통령직에 복귀할 경우 "임기에 연연하지 않고 개헌을 추진하겠다"라고 한 것에 대해 "진작 윤석열 대통령이 용단을 내렸으면 하는 바람 중 가장 핵심 내용이었다"고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지난해 12월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12월 14일 국회에서 탄핵 소추 의결이 이뤄지기까지 11일간 시간이 있었다"며 "대통령 타이밍이 너무 늦었다는 생각이 들었다"라며 지난해 12월 14일 탄핵한 표결 이전에 그런 선언이 나왔어야 했다고 입맛을 다셨다.
그러면서 김 전 의원은 "국민의힘은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트라우마, 아픔이 있어 또 대통령이 탄핵당하는 모습만은 피해 가자는 마음이었다"며 2016년 박 대통령 탄핵 직전에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고 털어놓았다.
김 전 의원은 "2016년 그때 친박 비박 그런 갈등 속에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던 정치적인 불행이 있었다"며 "비박 대표 주자인 김무성 대표 같은 분들이 모여 '어떻게든 탄핵만은 피해 보자'고 해 그때 나온 이야기가 '질서 있는 퇴진'이었다"고 소개했다.
그렇지만 당시 청와대 측 거부 등으로 이뤄지지 못해 결국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당하고 정권을 넘겨주고 말았다는 것.
한편 김 전 의원은 '임기 단축 개헌' 등이 담긴 "최후진술 원고를 대통령이 직접 작성했다고 하지만 여러 경로, 여러 채널을 통해 '만에 하나 복귀하더라도 정상적인 대통령 임기를 채우면서,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국정을 펼치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말을 들었을 것"이라며 주변의 조언을 대통령이 원고작성에 참고했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와 관련해 홍준표 대구시장도 26일 밤 MBC 백분토론에서 "대통령 최후진술 3주 전 대구로 찾아온 용산 대통령실 관계자에게 '조기 하야 언급' 필요성을 건의했었다"며 대통령이 '임기 단축 개헌'을 꺼낸 건 자기 뜻이 어느 정도 반영된 것 같다는 취지의 언급을 했다.
buckbak@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