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한미, 조선업 협력 관련 NSC 차원 범정부 워킹그룹 신설

"정부 조선업 협력 총괄"…김태효 1차장 방미 계기로 논의
대통령실·백안관 접촉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거론 안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미국 상호관세 조치 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급파한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조현동 주미국대한민국대사관 대사와 화상회의를 하고 있다. (총리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10/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김정률 기자 = 한국과 미국이 조선업 협력과 관련해 범정부 차원의 워킹그룹을 신설한 것으로 28일 확인됐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이날 "한·미가 미 백악관과 대통령실 국가안보실(NSC)에 조선업 협력 관련 정부 업무 조율 작업반을 만들기로 했다"며 "현재 산발적으로 돌아가고 있는 양국 간 조선업 협력을 정부 차원에서 총괄해 시너지를 내겠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한미가 조선업 관련 문제를 NSC 차원에서 논의하는 것은 미국이 해군력 유지를 위한 군함 유지·보수·정비(MRO)에 한국의 도움을 받으려 하기 때문이다. 이는 안보 차원의 문제로 NSC 차원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미 NSC 차원의 워킹그룹 신설은 최근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의 방미를 계기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김 차장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알렉스 웡 국가안보 부보좌관과 정책 협의를 했다.

이에 앞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스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의 2+2 회담에서도 미국 측이 조선업 협력 문제를 먼저 꺼냈다고 한다.

당시 미국 측은 미국 내 스마트조선소 구축과 기술 이전, 조선 인력 양성에 한국이 적극적으로 기여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이처럼 조선업 문제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조선업이 국방·산업뿐 아니라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문제까지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한·미는 이번 2+2 회담과 백악관·대통령실 고위급 접촉 과정에서 주한 미군 방위비 분담금 문제는 거론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jrki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