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지역특화 청년사업' 성과 공유…"청년과 함께 변화를"
42개 청년센터 참여…우수사례 소개 및 토크콘서트 진행
우수상 및 특별상 시상…"청년 단단해지는 사업 추진"
- 윤주현 기자
(서울=뉴스1) 윤주현 기자 = 청년재단 중앙청년지원센터는 지난 3일 서울 용산 로카우스 호텔에서 '2024 지역특화 청년사업'에 참여한 42개 청년센터와 함께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국무조정실과 중앙청년지원센터가 추진하는 '지역특화 청년사업'은 지역 청년센터가 각 지역 청년의 수요와 특성에 맞는 사업을 직접 개발하고 운영하는 사업이다. 청년이 겪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해 청년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청년정책 발전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지역특화 청년사업은 △청년이 함께 만들어 가는 참여성과 주도성 확보 △지속 가능한 청년투자 관점의 모델 구축 △센터별 활발한 사례공유 및 벤치마킹 등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
올해는 총 42개 청년센터(광역 12개소, 기초 30개소)가 총 12억 원의 예산으로 각각의 사업을 추진했고, 총 1만 2400여명의 청년이 참여했다.
성과공유회는 '청년과 함께 변화를 이끄는 길'이라는 주제로 △변화무쌍한 우수사례 소개 △사업담당자와 참여청년이 함께하는 토크콘서트 △우수상 및 특별상 시상으로 진행됐다.
청년지원센터는 '청년과 함께 변화를 이끄는 길'이라는 주제를 통해 지역특화 청년사업의 성과를 함축적으로 표현했다. 청년센터가 지역 청년들과 함께 다양한 시도와 도전을 통해 청년당사자, 지역사회, 사회경제의 변화를 끌어냈다는 반응이 나온다.
올해 우수사례로는 총 6개 청년센터가 선정됐다. 사례 발표는 △충청남도 청년센터 △서울청년센터 관악 신림동 쓰리룸 △부산남구 청년창조발전소 고고씽 Job 순으로 진행됐다.
충청남도 청년센터는 '청년, 충남을 팔아라' 프로젝트를 소개해 센터와 청년 창업가가 협업해 매출성장과 신규성장으로 이어진 사업의 성과를 공유했다.
서울청년센터 관악 신림동 쓰리룸은 고립·은둔 청년의 일상회복을 지원한 '꽃은 저마다 피는 시기가 다르다(꽃.피.다)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끝으로 부산남구 청년창조발전소 고고씽 Job은 1인 가구 위주 청년이 청년센터와 함께 집밥을 만들며 식재료·레시피를 주제로 소통하고 기부까지 실천해 보는 '나도 프로집밥러 챌린지' 프로그램의 성공 비결을 소개했다.
이어 진행된 토크콘서트에서는 우수사례로 선정된 나머지 3곳 △전라남도 청년센터 △제주청년센터 △천안청년센터 안서이음의 사업담당자와 참여청년이 퀴즈쇼 방식으로 올해 진행한 지역특화 청년사업을 되돌아봤다.
임대환 중앙청년지원센터장은 "올해 지역특화 청년사업의 다양한 사례와 효과를 보면서 청년이 머무는 지역은 발전할 수밖에 없다는 인상을 받았다"며 "향후 지역특화 청년사업을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박주희 청년재단 사무총장은 "내년에는 청년 맞춤형 지역특화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센터가 청년들에게 행복을 주는 사업을 이어나가고, 청년 스스로가 단단해지고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사업을 추진해달라"고 당부했다.
gerrad@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