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등 11곳서 수요 맞춤 '특화 공공임대' 1983가구 공급된다
공공임대주택 공모사업 결과…총 11곳 1983가구 선정
- 황보준엽 기자
(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하반기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모사업을 통해 전국 11곳에 총 1983가구의 특화 공공임대주택을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공모는 지난해 9월부터 2개월간 공모했으며, 이후 제안발표 및 평가위원회 심사 등을 거쳐 선정했다.
선정 결과는 고령자복지주택 310가구(2곳),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439가구(4곳),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1234가구(5곳)등 총 1983가구다.
고령자복지주택은 양구군과 남양주시(제안자 한국토지주택공사)에 총 310가구 규모로 추진될 예정이다.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 대상으로 미닫이 욕실문, 안전손잡이 등 주거약자용 편의시설이 적용된 임대주택을 제공하고, 사회복지시설도 설치한다.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서울 금천구와 영등포구, 강원 인제군 등에 총 1234가구 규모로 추진될 예정이다.
지자체·공공기관 등 공공임대주택 사업시행자가 지역의 수요에 따라 입주자 자격, 선정방법, 거주기간 등을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금천구(제안자 한국토지주택공사)에는 금천구청역 철도공사 보유부지에 청년 근로소득자를 위한 초역세권 특화주택을 254가구 규모로 추진한다.
영등포구(제안자 서울주택도시공사)에는 무주택으로 12세 이하 자녀를 둔 가정을 대상으로 380가구 규모의 양육친화주택을 추진한다. 이 주택은 영등포구청역 인근 당산동 공영주차장 부지에 들어선다.
강원 인제군에는 청년과 원거리 출·퇴근 중인 군무원을 위해 민군상생형 공공임대주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공공임대주택 공급 시 지역의 다양한 수요를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에 따라 이번 공모부터 신규 도입한 유형이다.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은 경기 성남시와 대전시, 강원 영월군 등에서 총 439가구 규모로 추진될 예정이다.
청년 창업가와 중소기업 근로자, 지역 전략산업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근로자의 직주 근접성을 확보하며, 창업센터와 공동 업무공간 등 지원시설을 제공한다.
국토부는 "선정된 사업의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등의 절차가 원활히 추진되도록 지원하고, 앞으로 사업 설명회 등 홍보도 적극 실시해 특화 공공임대주택 사업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wns8308@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