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열번째 레미콘 가격 협상 D-1…건설업계 '초긴장'
건설·레미콘 업계, 6일 오후 2시 서울서 제10차 회동
'2600원 간극'…협상 결렬시 업계 '도미노 효과' 우려
- 조용훈 기자
(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올해 수도권 레미콘 가격 협상이 4개월째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6일 오후 2시 서울 서초구 롯데건설 본사에서 제10차 협상이 진행된다. 이번 협상 타결 여부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진행된 제9차 협상에서 건설사 자재 구매 담당자 모임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건자회)와 수도권 레미콘 제조사 실무자 모임인 영우회는 가격 조정폭을 놓고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현재 수도권 레미콘 단가는 ㎥당 9만 3700원이다. 당시 협상에서 영우회는 700원 인하된 9만 3000원을, 건자회는 3300원 낮춘 9만 400원을 각각 제시했으나 2600원의 차이를 좁히지 못해 협상이 결렬됐다.
이번 10차 협상에서 건설업계는 원자재 가격 하락과 건설경기 침체를 근거로 레미콘 가격 인하를 강력히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자회는 유연탄 가격 하락에 따른 시멘트 가격 인하 가능성을 언급하며, 시멘트 가격 인하 요인을 반영한 레미콘 가격 인하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과거 시멘트 가격 인상분을 레미콘 가격에 반영했던 것처럼 인하분도 동일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레미콘업계는 인건비와 운반비 상승을 이유로 추가 가격 인하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영우회는 전기요금, 인건비, 운반비 등의 상승을 근거로 제시하며 시멘트 가격이 인하되지 않은 상황에서 레미콘 가격 인하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레미콘 원가에서 시멘트가 차지하는 비중(30%) 외에도 다른 인상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고 것이다.
만약 10차 협상마저 결렬될 경우 레미콘 수급 불안정으로 인한 건설 현장의 공기 지연과 원가 상승 등 건설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주택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져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협상 결렬이 장기화하면 각 건설사는 개별적으로 레미콘사와 협상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이는 건설사의 규모와 협상력에 따라 레미콘 구매 가격의 편차를 발생시켜 중소 건설사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게 된다. 개별 협상으로 인한 가격 상승은 전반적인 공사비 증가로 연결된다.
업계 관계자는 "협상이 장기화될 경우 공사 중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는 단순히 공사비 상승뿐만 아니라 주택 공급 일정에도 영향을 미쳐 시장 전반에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협상 결과는 향후 시멘트 가격 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건설 자재 업계 전반이 주목하고 있다. 업계는 레미콘 가격 협상 타결이 건설 경기 회복의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joyonghu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