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교통학회 "AI 기반 모빌리티·보편 교통서비스로 혁신해야"
대한교통학회 새정부 교통정책 제안
교통관련 최상위법 제정 필요성도 제기
- 김동규 기자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차기 정부의 교통정책 방향으로 인공지능(AI) 기반 모빌리티와 교통안전 체계 개편 등이 제안됐다. 대한교통학회는 8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광역 출퇴근 시간 단축과 스마트 교통 인프라 확대 등을 포함한 4대 목표와 11개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이동민 대한교통학회 수석부회장은 이날 △AI와 모빌리티로 더 가까운 일상, 더 경쟁력 있는 대한민국 △꼼꼼한 교통행정서비스와 체계개편으로 더 안전한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누리는 보편적 모빌리티 서비스 보장 △국가 경쟁력과 국민생활을 지원하는 물류시스템 구축의 4대 목표를 제안했다.
이 부회장은 11개 추진과제를 설명하면서 "광역 출퇴근 30분, 60분 내 1일 생활권을 목표로 대도시의 지하도로와 광역급행철도의 확대가 필요하다"며 "여기에 더해 스마트 고속도로, 스마트 환승센터 구축, 단거리 항공서비스(UAM), 초고속 자기부상열차(하이퍼튜브) 기반의 새로운 교통네트워크 구축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교통관련 최상위법 제정의 필요성 등이 강조됐다.
신희철 한국교통연구원 부원장은 "현재는 각종 기간망 계획이 최상위법이어서 각자 이뤄지고 있는데 망은 건설이 중심"이라며 "이제는 건설이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서비스가 중요하기에 최상위 국가교통 계획을 위한 기본법이 제정돼야 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AI와 관련한 연구개발(R&D) 투자를 강화해야 하는데 한국은 제조업에 강점이 있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합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며 "전문가를 포함한 대통령 직속위원회로 구성된다면 AI를 모빌리티 분야에서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신 부원장은 "OECD 국가 중 한국이 교통안전 수준이 높은 편이 아니라서 기초부터 원칙에 충실해 하나씩 만들어 나가야 한다"며 "최소한 총리실 산하로 교통안전위원회 등을 만들어서 국가적 정책을 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복기왕, 손명수, 송기헌, 염태영, 윤종군, 이건태, 이연희 정준호 의원이 주최하고, 대한교통학회가 주관했다.
dki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