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신원식 "尹, 3월 만찬서 '비상조치' 언급…조태용도 계엄 반대"(종합)

신원식 "尹과 만찬 3월 딱 한 번…김용현에 뜻 전달하라 해"
"문상호, 충암파 아냐…국방장관 교체 의혹 제기 사실 아냐"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지난달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1차 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을 마친 후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정재민 김민재 윤주현 기자 =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은 지난해 3월 윤석열 대통령과의 만찬 자리에서 자신은 물론 조태용 국가정보원장도 윤 대통령의 '비상조치'에 대해 다른 의견을 냈다고 11일 밝혔다.

다만 그는 만찬 자리에 함께한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이 당시엔 별다른 반대를 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신 실장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심판 7차 변론 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지난해 3월 대통령 안가에서 저와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 조태용 국정원장,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참석한 만찬에서 윤 대통령이 비상조치에 대해 언급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신 실장은 "당시 윤 대통령이 저를 보고 말한 것 같아서 당시 군을 책임지는 국방부 장관으로서 재고하고 다른 의견을 표명했다"며 "조 원장도 사실상 좀 다른 의견을 낸 것으로 기억한다"고 전했다.

그는 '당시 윤 대통령의 계엄 등 발언이 군의 정치 개입으로 생각했는가'라는 국회 측 대리인 질문에 "계엄까진 생각하지 못했다. 어떤 경우든 저는 적절치 못하다고 의견을 피력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또 "저와 조 원장이 (반대) 의견을 표명한 후에 대통령이 다른 주제로 전환해 남은 두 분은 말할 기회가 없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덧붙였다.

신 실장은 자신이 육사생도 시절 12·12 사태를 겪는 등 군의 정치 개입이 안 된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며 당시 조 원장 또한 국제 관계를 언급, 외국에서 받아들이지 못하고 국격에 비춰 그런 생각을 못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다.

특히 신 실장은 당시 윤 대통령과의 만찬 이후 김 전 장관, 여 전 사령관을 따로 자신의 공관으로 데려간 뒤 윤 대통령의 발언을 우려해 "대통령을 잘 모셔라", "대통령을 잘 모시는 길이 그런 말씀을 혹시라도 안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부하 된 도리", "아무리 술자리라도 사람들에게 (발언)하는 게 좋지 않겠다"고 당부했다고 전했다.

이에 김형두 헌법재판관이 "여 전 사령관은 3월 안가에서 만찬 했다고 얘기하지 않았다", "여 전 사령관은 지난해 5~6월쯤 '무릎을 꿇고 계엄을 생각하지 말라'고 윤 대통령에게 얘기했다고 하는데 신 실장과 여 전 사령관이 있을 땐 그런 얘기를 하지 않았다는 것인가"라고 물었다.

신 실장은 "대통령과의 별도 만찬은 3월 말 그때 딱 한 번 있었다"며 "5~6월에 대통령과 만찬 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7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변호인과 대화하고 있다. 2025.2.11/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김 재판관은 신 실장이 지난해 9월 국방부 장관에서 국가안보실장으로 교체된 것과 비상계엄 반대 의사 표명과의 연관성을 따져 묻기도 했다.

김 재판관은 "당시 언론 보도에 문상호, 여인형, 김용현으로 대표되는 충암파와 증인과의 대립으로 충암파로 교체됐다고 보도했는데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며 "안보실장으로 교체된 건 비상계엄 선포에 적극적으로 반대해서인가"라고 물었다.

신 실장은 "인사권자인 대통령이 판단할 사항"이라면서도 "문상호(정보사령관)는 충암고를 나오지 않았고 일부 언론에서 제기한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본다"고 답했다.

신 실장은 12·3 비상계엄 당시 윤 대통령에게도 "그건 절대 안 된다"며 "무슨 비상계엄인가"라는 취지로 말했고, 몇몇 수석들도 그런 취지로 말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밝혔다.

신 실장은 비상계엄 당시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안 가결 뒤에도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 박안수 계엄사령관이 합참 결심지원실에서 20~30분 동안 논의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당시 인성환 국가안보실 2차장이 대통령이 합참에 있는 데 너무 오래 있으면 시간이 걸릴 것 같으니 제게 (정진석) 비서실장과 가서 대통령을 모시고 오는 게 좋겠다고 건의해 저와 정 실장이 들어가 '복귀하는 게 좋겠다'고 건의했고 1분 정도 있다가 대통령이 나와서 복귀했다"고 설명했다.

김 재판관은 이에 "박 사령관 이야기는 다르다"며 "대통령이 '저와 장관, 박 사령관 세 명만 남고 모두 나가라' 했고 그 이후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마주 앉아 이야기했고 멀찍이 서 있었다'고 얘기했다"고 지적했다.

신 실장은 "그렇게 진술한 걸 들었고 제 기억이 잘못됐을 수 있지만 저는 두 사람 다 아무 말 없이 대통령의 좌우에 앉아 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답했다.

신원식 국가안보실장./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ddakbo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