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교사 10명 중 3명만 "교직 만족"…3명 중 2명 '이직' 고민

56.7%가 교권침해 경험…23.3%는 정신과 치료 받아
이직·사직 이유…'과도한 민원·낮은 임금'이 1·2순위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실이 텅 비어 있다. /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서울=뉴스1) 장성희 기자 = 교직 생활에 만족하는 교사가 10명 중 3명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직을 고민하는 교사가 3명 중 2명에 가까웠다. 낮은 보수와 과도한 민원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14일 교사노동조합연맹(교사노조)이 스승의 날을 맞아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7일까지 전국 유‧초‧중‧고‧특수학교 교사 8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직 생활에 만족하는 교사는 32.7%에 그쳤다.

다만 '서이초 교사 사망 사건' 이후 교사들의 만족도 수준은 상승하는 추세다. 해당 사건이 발생한 2023년엔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13.2%에 그쳤으나 지난해는 22.7%로 높아졌다.

교직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유치원 교사가 초·중·고 교사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교사라는 직업이 사회에서 존중받냐는 질문엔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교사가 64.9%로 집계됐다. 반면 '존중받는다'고 느낀 교사는 8.9%에 불과했다.

최근 1년간 교권 침해를 경험한 교사는 56.7%였으며, 보호자에게 침해를 당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도 44%에 달했다.

이로 인해 정신과 상담이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교사도 23.3%로 조사됐다.

수업 연구보다 행정업무를 우선해 처리했냐는 질문엔 교사 90.9%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91.3%는 시간 외 근무 신청 없이 학교나 집에서 업무를 처리한 경험이 있었다.

최근 1년간 이직·사직에 대해 고민한 교사는 전체의 58%였다.

이직·사직을 고민한 이유로는 △교권 침해·과도한 민원 77.5% △낮은 임금 57.6% △과도한 업무 27.2% 순이었다. 특히 20·30대 교사가 40·50대 교사보다 이를 크게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보수에 대해선 '만족하지 않다'는 의견이 전체의 84.4%를 차지했다.

교원의 보수·수당에 물가 연동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응답자의 97.5%가 동의했다.

교육활동 보호에 대해선 교사의 81.2%가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현장 체험학습 사고 등으로부터 교사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령인구 감소를 이유로 교원 정원을 줄이는 게 부적절하다는 응답은 77.3%였으며, 학급당 학생 수를 최대 20명으로 제한하는 것을 교원 정원 산정 기준에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은 71.1%였다.

아울러 교사 96.9%가 현재 운영되는 교육정책 전반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특히 수업 방해 학생을 분리하는 제도에 대해 잘 운영되고 있다는 비율은 13.4%, 민원 응대 시스템이 잘 운영되고 있다는 응답은 14%에 그쳤다.

이보미 교사노조 위원장은 "교사들이 스승으로서의 자긍심과 보람을 느끼기보다 열악한 교육 여건과 급변하는 교직 문화로 이직을 고민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교사들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정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grown@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