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교협, 대선 앞두고 "직업교육 지원 강화" 정책 제시
4대 아젠다·12대 추진 과제…"고숙련 기술인재 양성"
"직업교육법·고특회계 연장·직업교육 항목 신설 필요"
- 이유진 기자
(서울=뉴스1) 이유진 기자 =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전문대교협)가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직업 교육을 국가 전략으로 시행하기 위해 법·제도적 기반을 정비하고 안정적인 재정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골자로 한 '2025 전문대 정책 아젠다'를 22일 제시했다.
정책 아젠다는 △국가 신성장 분야 AID 기반 고숙련 기술인재 양성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앵커대학 집중 육성 △누구나 소외없는 직업교육 보장 △전 생애 직업교육 국가책임제 실현 등 4대 아젠다와 12대 추진 과제로 구성됐다.
전문대교협은 신산업 분야의 급속한 확산과 디지털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반도체, AI(인공지능), 미래 모빌리티 등 첨단 분야에서 현장 적응력과 융합역량을 갖춘 고숙련 기술인재를 전문대학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양성해야 한다고 했다.
또 지방소멸 위기와 수도권 집중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대학이 지역기반산업과 공공서비스 분야(보건의료, 복지, 에너지, 안전 등)를 지탱하는 앵커대학으로서 지역전략산업과 연계된 인재-기술-산업 클러스터의 중심축으로 기능하도록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누구나 소외없는 직업교육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기존의 교육체계에서 배제되기 쉬운 집단에게도 직업교육의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하고, 전 국민이 생애 전환의 시점마다 적시에 직업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아울러 전문대교협은 직업교육을 국가 전략으로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법·제도적 기반을 정비하고 안정적인 재정지원체계를 구축하며, 중등–고등–산업을 아우르는 통합 직업교육 생태계를 조성해 줄 것을 촉구했다.
직업교육에 대한 현행 법적 기반이 미비해 정책의 지속성과 일관성이 낮은 점을 고려해, 직업교육법 제정을 통해 국가의 책무성과 지원 체계를 명문화하고 전문대학을 지역 내 평생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 규정해 제도적 위상을 강화하는 것을 강조하자는 취지다.
김영도 전문대교협 회장은 "직업교육은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최고의 복지이자,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 국가전략"이라며 "직업교육법 제정,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연장 및 직업교육 재정항목 신설과 같은 제도적 뒷받침이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real@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