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올해 수능 중대 변수는 '사탐런'…사회탐구 응시자 10만명 늘었다

수시·정시에서 사탐 인정하는 대학 늘어
과탐은 응시자 줄어…"과목별 유불리 계산해야"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2025년 5월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치르고 있다. /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서울=뉴스1) 장성희 기자 = 사회탐구(사탐) 과목에 응시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지난해보다 10만 명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탐구를 선택하던 학생들이 사회탐구로 선회하는, 이른바 '사탐런'이 올해 대학 입시의 중대변수가 될 전망이다.

23일 종로학원이 지난 8일 실시된 경기도교육청 주관 2026학년도 고3 연합학력평가(학평)를 분석한 결과, 올해 사탐 응시 학생은 43만 4155명으로 지난해 같은 시험(33만 3448명)보다 10만 707명(30.2%) 증가했다.

5월 연합학력평가의 사탐 응시 비율은 △2024학년도 52.1% △2025학년도 55.9% △2026학년도 66.6%로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3월에 치러진 연합학력평가에서도 사탐 응시 비율이 64.6%로 전년도 같은 시험(55.1%)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대비 올해 5월 학평 사탐 과목별 응시 인원 증가 폭은 △사회문화 4만 5952명(44.7%) △생활과윤리 2만 6114명(24.9%) △세계지리 8172명(38.6%) △윤리와사상 6748명(24.4%) △한국지리 5596명(22.2%)이었다.

반면 과학탐구(과탐) 응시자는 지난해보다 4만 4810명(17.1%) 줄었다. 과탐 응시 인원은 △2024학년도 27만 832명 △2025학년도 26만 2533명 △2026학년도 21만 7723명으로 지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다. 응시 비율은 각각 47.9%, 44.1%, 33.5%였다.

지난해 대비 과탐 과목별 응시자 감소 폭은 △지구과학Ⅰ 1만 4005명(16.9%) △화학 Ⅰ 1만 2375명(39.8%) △생명과학Ⅰ 1만 1878명(14.1%) △물리Ⅰ 6671명(17.0%) △생명과학Ⅱ 12명(1.4%)이었다. 지구과학Ⅱ, 화학Ⅱ, 물리Ⅱ는 지난해보다 각각 53명, 137명, 149명 늘어났다.

이 같은 사탐런은 의대, 자연계 학과 등에서 사탐 과목을 인정하는 것으로 방침을 바꾸고 있기 때문이다. 과탐 과목에 부담을 느끼는 자연계 학생들이 사탐으로 과목을 전환한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고려대·성균관대·아주대·건국대·경북대·부산대·이화여대·한양대 의대 등은 올해 입시부터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으로 사탐을 인정한다. 가톨릭대·고려대·부산대·경북대는 정시에서 사탐을 인정하기로 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응시인원이 늘어나는 과목에서는 수능점수 고득점 학생이 많아질 수 있고, 반대로 과탐 등 응시인원이 크게 줄어드는 과목에서는 수능 등급, 백분위 고득점 확보가 매우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의대, 자연계 학과의 경우 정시에서 과탐 과목에 가산점을 적용하는 대학도 있다"며 "수시와 정시의 유불리를 명확하게 계산하고, 과목 전환에 따른 부담 정도를 충분히 고려해 과목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grown@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