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녹색기업 혁신·저탄소 전환에 1.5조 보증 지원…"기후테크 육성"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기업에 보증비율 확대…보증료도 우대·지원
녹색 유니콘 키운다…성장 단계별 최대 500억원 금융지원

김완섭 환경부 장관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2024.8.26/뉴스1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정부가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한 녹색산업 보증지원을 강화한다. 1.5조 원 규모의 보증을 공급해 녹색 기술혁신과 저탄소 전환을 촉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 중소·중견기업을 녹색기업으로 혁신하고, 스타트업을 중견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목표다.

환경부는 5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녹색산업 보증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탄소배출 저감이 필수적인 산업 분야의 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기후테크·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의 자금 조달을 돕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정부는 녹색 기술혁신 기업을 대상으로 연간 2800억 원 규모의 보증을 지원한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 대상 녹색기술·환경산업 기업에 기술평가와 보증심사를 통해 지원할 방침이다. 최대 보증비율 95%를 적용하고, 보증료는 0.4%포인트(p) 감면한다. 정책 협약은행은 최대 0.7%p씩 2년간 보증료를 지원할 방침이다. 일반 보증비율(85%)보다 10%p 높은 우대 조건을 주는 것이다.

정부는 탄소중립을 위한 금융 지원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중소·중견기업의 녹색산업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채권, 융자, 펀드 등을 통한 자금 지원을 강화한다.

녹색 경제활동 수행에 필요한 자금 조달 지원을 위해 녹색자산유동화증권 발행액을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해 2024년 3228억 원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정책자금을 활용해 2024년 459개 기업에 1조5000억 원을 지원하고, 자금 조달이 어려운 기업을 대상으로 정책자금을 공급해 녹색전환과 기업 성장을 견인한다는 방침이다. 민관 합동으로 933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녹색산업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 23개 사에 총 268억 원을 투자할 계획도 포함됐다.

정부는 탄소중립 혁신 선도기업을 적극 육성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탄소감축 기획 컨설팅 및 사전한도 우대보증을 제공해 혁신 기업을 발굴하고 사업 확장을 지원한다. 또한, 녹색 혁신아이콘 기업을 대상으로 3년간 최대 200억 원의 보증을 지원하고, 해외 진출 지원, 기술 특허 자문, 맞춤형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도 병행한다.

저탄소 사업구조로 전환하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비 도입, 공정 개선을 통한 탄소 배출 저감 프로젝트에 보증을 우선 적용한다. 태양광과 풍력, 수소 등 청정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사업 모델이 대상이다. 특히 중소·중견기업이 탄소중립 혁신 선도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단계별 금융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녹색 혁신아이콘 기업을 육성한다. 연간 최대 200억 원의 보증을 제공하고 해외 진출과 기술 특허 자문, 맞춤형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을 병행한다. 또한 글로벌 녹색기술 톱 10을 선정해 우수한 환경산업 기업이 국제 무대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당 최대 500억원의 금융 지원을 추진할 방침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단순 지원을 넘어 기업이 자립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 체계를 마련했다"며 "녹색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한국의 녹색기업이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ace@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