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부산 온 '기후 차르'의 경고…"트럼프도 탈탄소 되돌릴 수 없어"

존 케리 전 미국 국무장관 "시장이 이미 전환 결정"
해운업 감축 필요성도 역설 "무배출 변화의 시작점"

존 케리 전 국무부 장관이 29일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에서 기자 질문에 답하고 있다. ⓒ 뉴스1 황덕현 기자

(부산=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아래에서도 세계 탈탄소화 흐름은 계속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기후 차르'로 불리며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를 지낸 존 케리 전 국무부 장관은 "트럼프 1기 때 파리협정에서 탈퇴했지만, 임기 종료 무렵 미국 내 새로 생산된 전력의 75%는 재생에너지였다"며 "지금은 90%까지 올라섰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케리 전 장관은 29일 부산 해운대 벡스코에서 열린 제10차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에 참석해 "해상풍력 등 일부 분야는 타격을 받을 수 있겠지만, 세계 시장은 이미 '전환'이라는 결정을 내렸다"고 강조했다.

그는 "2017년 트럼프 1기 정부 당시 뉴욕·캘리포니아 등 여러 주지사와 함께 '우리는 여전히 여기에 있다'(We’re Still In) 재생에너지 확대 운동을 시작했고, 여러 주에서 재생에너지 의무 비율을 유지하는 전환적 흐름을 이어갔다"고 설명했다.

이어 "포드와 GM, 포르쉐 같은 자동차 업체들이 대통령이 누군지에 따라 내연기관차로 되돌아가지는 않는다"며 산업계의 불가역적인 친환경 행보를 설명했다.

기술의 발전과 가격 경쟁력도 강조했다. "시장에서 결정하는 것은 언제나 가격이다. 더 나은 에너지원이 더 저렴하다면, 사람들이 그것을 선택할 것"이라며 "중국이 최근 리튬이 필요 없는 새 배터리를 공개했는데, 이는 전기 저장 기술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케리 전 장관은 해운업의 탄소 감축 필요성도 짚었다. 그는 "해운이 하나의 국가라면 전 세계 탄소 배출량 기준으로 8번째일 것"이라며 "주요 해운사들이 국제해사기구(IMO)와 함께 배의 동력 방식을 탄소 배출 없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지금이 그 변화의 시작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출발 항구부터 도착 항구까지 전 구간을 친환경 방식으로 운항하는 '친환경 항로'(Green Corridor) 조성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탈탄소 전환은 희생이 아니라 경제적 기회"라며 "더 깨끗한 공기, 줄어든 질병, 줄어든 재난 복구 비용 등 혜택은 뚜렷하다. 이는 아시아든 미국이든 모두에게 적용된다"고 말했다. "기후 위기의 시계를 되돌릴 수는 없지만, 지금 결단하고 기술을 적극 도입하면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OOC는 2014년 케리 전 장관이 재임 중 미국이 주도한 고위급 해양 국제회의다. 올해 10회를 맞은 이번 회의는 해양수산부 주관으로 30일까지 부산에서 열린다.

ace@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