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산 참치, 불법? 합법?…책임은" 섬나라들 부산서 투명성 촉구
-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부산=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전 세계 기후·환경단체들이 부산에서 열리고 있는 제10차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에서 수산물 유통 전반에 대한 추적 관리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0일 환경운동연합 등에 따르면 한국에서 유통되는 수산물 중 이력 추적이 가능한 비율은 6.46%에 불과하다. 이력제가 적용되더라도 대부분 어획 이후 위판 시점부터 기록이 시작되며, 누가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잡았는지는 확인이 어렵다. 현재 이력제 의무 대상 어종도 참조기와 굴 등 일부에 그치고 있다.
김솔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는 "수산물 이력제 적용 어종을 더 확대해야 한다"며 "지금처럼 배에서 내린 이후부터가 아니라 바다에서 잡히는 순간부터 식탁에 오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주요국 수산물 수입 통제 체계'보고서도 발표됐다. 보고서는 한국과 유럽연합(EU), 미국, 일본의 수입 통제 시스템을 비교하며, EU와 한국이 어획 기록 시스템을 갖추고 있음에도 어획지점, 어업인, 장비 등의 핵심 정보가 빠져 있어 실효성이 낮다고 평가했다.
EU 불법 어업 대응(IUU) 연합은 적용 대상 어종을 넓히고, 핵심 정보를 포함한 이력 관리 시스템을 모든 수입국이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렌 조셉 마셜제도 구호 및 자원청 국장은 "중서부 태평양 해역은 세계 최대 참치 어획지지만 여전히 수산물 이동 경로가 불분명하다"며 "이 지역 투명성을 확보하려면 기술과 예산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찰리나 비체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어업총국장은 "EU는 불법 어획 수산물의 수입을 용납하지 않는다"며 "수입 통제를 어긴 국가에는 옐로카드를 발급하고, 수산물 수출 제한 조치를 통해 압박한다"고 밝혔다. 이어 "EU는 세계 최대 수산물 소비시장으로서 시장 접근 조건을 활용해 불법 어업 근절을 유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베스 로웰 오세아나(Oceana) 미국 부회장 겸 미국 불법 어업 및 노동권 연합 대표는 "정부들은 수산물 추적 가능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하며, 주요 시장국 간 규정을 조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오세아나는 미국 워싱턴DC에 본부를 둔 해양 전문 국제 환경단체다.
OOC는 2014년 케리 전 장관이 재임 중 미국이 주도한 고위급 해양 국제회의다. 해양수산부와 환경부 등은 이 콘퍼런스를 계기로 불법 어업 감시를 강화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국제 협력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ace@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