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장관, 캄보디아서 '물 산업' 영업…스마트정수장 협력 논의
-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한국과 캄보디아는 향후 캄보디아 물 이용·관리 기반 시설 확충과 기후위기 대응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환경부는 5~7일(현지시간) 김완섭 환경부 장관을 단장으로 한 물 산업 협력 사절단을 캄보디아에 파견해 정부 간 협력(G2G)뿐 아니라, 캄보디아 정부와한국 물기업 간 협력(G2B)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프랑스, 일본 중심이었던 기존 시장에 한국 기업들이 본격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사절단에는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환경공단, 한국물산업협의회, 국내 물기업 18개사가 참여했다. 김 장관은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를 비롯해 수자원기상부, 산업과학기술혁신부, 환경부 등 주요 부처 장관들과 잇따라 만나 정수장, 저수지 확충과 스마트 상수도 체계 확대, 메콩강-센강 연결 수로 사업, 인공지능 홍수예보 시스템 구축 등 다각적 협력을 논의했다.
특히 6일에는타오 체타 수 수자원기상부 장관과 물관리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기후대응력 강화를 위한 통합물관리 △홍수·가뭄 조기경보 △디지털 기반 물관리 △수질오염 및 유역관리 △기술·제도 협력 등 협력 범위를 구체화했다.
김 장관은 햄 반디 산업과학기술혁신부 장관과는 프놈펜 스마트 상수도 사업 확대 및 시엠레아프(씨엠립) 신규 정수장 사업 협의를 진행했으며, 이응 소펄라엣 환경부 장관과는 온실가스 감축 공동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사절단은 국제기구와의 다자면담도 진행했다. 세계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 유엔개발계획(UNDP),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와는 메콩강-센강 연결수로 사업 등 공동개발 방향을 공유하고, 향후 사업 연계를 모색했다.
사절단은 현지 바켕 정수장을 방문해 운영 현황을 확인하고, 프놈펜 상수도청과 세미나를 열어 한국 기업 10곳이 기술을 직접 소개하는 자리도 가졌다.
ace@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