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전지 종류 구분 없이 버린다…환경부, 통합회수 체계 도입

김호은 전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현 전북지방환경청장)이 순환경제 신기술·서비스 규제특례 제도 운영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환경부는 당시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농업부산물 활용 연료생산 등 9건의 순환경제 분야 신기술·서비스를 승인했다. 2024.12.26/뉴스1 ⓒ News1 김기남 기자
김호은 전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현 전북지방환경청장)이 순환경제 신기술·서비스 규제특례 제도 운영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환경부는 당시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농업부산물 활용 연료생산 등 9건의 순환경제 분야 신기술·서비스를 승인했다. 2024.12.26/뉴스1 ⓒ News1 김기남 기자

(세종=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건전지부터 전자제품 내장 전지까지 다양한 전지류를 한 번에 수거하는 통합체계가 마련됐다. 환경부는 21일 서울 중구 엘더블유컨벤션에서 한국환경공단과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 이순환거버넌스와 전지류 통합회수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20일 밝혔다.

그동안 건전지와 리튬일차전지 등 일차전지류는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와 지자체가 운영하는 수거함을 통해 비정기적으로 회수됐고, 전자제품 내장형 이차전지류는 이순환거버넌스가 무상방문 수거와 전용 수거함을 통해 상시 회수해 왔다. 그러나 두 전지류는 외형상 구분이 어려워 배출 단계에서 혼합되기 쉬웠고, 특히 일차전지는 수거 주기가 길어 장기간 방치되면서 누액, 화재 등 안전사고 우려도 컸다.

협약을 통해 이순환거버넌스와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는 전자제품 상시 회수 체계를 활용해 다양한 전지류를 통합적으로 신속히 수거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전지류 통합회수 추진위원회'를 운영하고, 제도 개선과 행정 지원을 맡는다.

아울러 협약 참여 기관들은 지하철역, 대형마트, 다중이용시설 등 유동 인구가 많은 장소를 중심으로 일차전지류와 이차전지류를 함께 버릴 수 있는 통합 수거함 1000개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지류 배출 편의성을 높이고 회수율도 함께 끌어올릴 방침이다.

앞으로 국민은 전지 종류를 구분할 필요 없이 기존 아파트 건전지 수거함, 전자제품 이동식 수거함 등을 통해 어디서든 쉽게 배출할 수 있다. 수거함 포화 시에는 약 200대의 전용 회수 차량이 상시 수거할 예정이다.

현재 회수 대상 전지류는 망간·알칼리·공기아연·리튬계 일차전지류를 비롯해 휴대전화·노트북·보조배터리·무선 청소기·전기차 등에 내장된 리튬이온, 리튬폴리머, 리튬인산철, 납축전지 등 다양한 이차전지류를 포함한다. 사용처는 시계, 리모컨, 전자저울, 소방감지기, 완구, 보청기, 캠핑용 전원장치까지 광범위하다.

추가 설치되는 통합 수거함은 불연성 실리카 섬유 재질로 제작되며, 기존 수거 방식과 달리 배터리 종류별 구분 없이 일괄 배출이 가능하다.

이 조치는 14일 정부가 발표한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의 일환이다. 환경부는 통합회수 체계가 정착되면 수거 지연으로 인한 화재 등 안전사고를 줄이고, 전지류의 재활용률 또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ace@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