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즈' 출범 앞둔 서울시...자치구·대학 중재해 '지역 현안' 해결
산업 활성화 방점…자치구가 '지역문제' 발굴
본 사업 때 자치구·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원
- 박우영 기자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이 협력해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가 올해 전국 17개 시·도에서 본격 시행을 앞둔 가운데 서울시가 '지역 현안 해결'을 목표로 대학·자치구 중재에 나섰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다음 달 7일까지 '서울 RISE 대학과 함께하는 지역 현안 문제해결 자치구 수요조사(2차)'를 진행해 자치구로부터 대학과 해결해나갈 지역 문제를 제안받는다. 지난해 12월 진행한 1차 조사에는 7개 자치구가 참여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는 지자체·대학 협력을 통한 지역 문제 해결 가능성에 주목해 이를 라이즈 사업의 주요 축 가운데 하나로 삼았다"며 "개별 대학 차원에서 자치구와 협의하는 일이 어려울 수 있어 시가 중간 다리 역할을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라이즈는 교육부가 갖고 있던 대학에 대한 행·재정 지원 권한을 지자체에 이양해 지자체가 지역 발전 전략과 연계해 대학을 지원하도록 하는 사업이다. 지역 주도 사업인 만큼 지자체별로 자율성이 높다. 또 사업 초기라 아직 지자체별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다.
교육부가 중소벤처기업부와 지역 주력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아직까지는 산·학·연 연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예를 들어 경기도는 '미래성장산업 선도인재 3만 명 양성'·'산학협력 공동연구 750건 수행'을 목표로 내세웠다.
서울시는 5개 프로젝트와 12개 단위과제로 구성된 기본계획안을 수립했다. 특히 12개 단위과제 가운데 하나로 '지역 현안 해결'을 포함해 산업은 물론 지역자치에서도 라이즈 체계를 활용하기로 했다.
1차 수요 조사 때는 관내 가장 많은 6개 대학이 소재한 성북구 등이 안건을 제안했다. 은평구도 다수의 제안서를 제출했다.
자치구들이 지역 현안을 제안하면 서울시가 추후 라이즈 본 사업 공모 때 자치구·대학 컨소시엄 구성을 지원한다. 대학이 연구 인력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자체·대학이 함께 지역 현안 해결에 나설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업 참여를 원하는 대학이 많은 데다 소재한 자치구와 협업하고 싶어하는 학교가 많아 다시 한 번 수요조사에 나섰다"며 "지역 현안을 가장 잘 아는 자치구와 대학간 협력 체계 구축을 도와 시너지를 끌어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alicemunr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