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빠졌다…광화문광장에 6·25 참전국 '감사의 정원' 조성
논란 된 '국가상징공간' 설계 공모안 발표…'도심 숲' 조성
22개 국 상징 조형물 연내 설치…숲은 2027년 준공 목표
- 박우영 기자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서울시가 논란이 됐던 광화문광장 '100m 높이 태극기 게양대' 설치 계획을 사실상 철회하고 해당 부지에 미디어월을 활용해 참전국과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조형물을 만들기로 했다.
서울시는 6·25 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담은 상징 공간 '감사의 정원'을 광화문 광장 옆 부지에 조성한다고 3일 밝혔다.
오세훈 시장은 이날 직접 발표에 나서 '감사의 정원' 조성계획과 상징 조형물 공모 당선작 '감사의 빛 22'에 대해 설명했다.
오 시장은 "6·25 당시 우방국의 도움이 없었다면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번영은 결코 있을 수 없었을 것"이라며 "600년 우리나라의 중심지로 대한민국 국가와 국민의 정체성이 오롯이 담긴 광화문광장에 '감사의 정원'을 만들어 이곳을 찾는 세계인에게 감동을 전하겠다"고 알렸다.
서울시는 특히 역사적으로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켜내기 위한 공간으로 기능해왔으며 외국인에게도 서울 대표 랜드마크로 손꼽히는 광화문 광장이 '감사의 정원' 최적지라고 덧붙였다.
6·25 참전국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반영한 상징 조형물을 만든다. 조형물은 참전국을 상징하는 22개의 검은 화강암 돌보, 보 사이 유리 브릿지 등으로 구성된 지상부, 참전국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감사의 공간이 들어선 지하부로 구성될 예정이다.
지상부에 참전국에 대한 감사를 시각화한 5.7~7m 높이의 조형물 22개인 '감사의 빛 22'를 설치한다. 22개 참전국에서 채굴된 석재를 들여와 조형물을 만들고 측면에는 참전국 고유 언어로 애송시, 문학작품, 글귀 등을 새겨 참전용사의 희생을 기린다.
22개 조형물은 한국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를, 검은 석재의 물성은 이들 국가와의 단단한 유대감을 상징한다. 감사의 빛 22는 다채로운 빛 연출이 가능해 우방국 기념일 등에 빛을 활용해 감사의 예우를 표현할 수 있다.
지하에는 우방국과 실시간 소통 가능한 상징공간이 들어선다. 22개국의 현지 모습을 영상·이미지 등으로 만나볼 수 있는 미디어월이 조성된다. 서울시는 희망하는 도시는 실시간으로, 시차가 있는 도시는 녹화 영상으로 연결할 방침이다.
오 시장은 "22개 참전국과 실시간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감사의 공간을 단순한 기념 공간이 아닌 살아있는 교류의 장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상징 조형물 옆 세종로공원을 종합적으로 정비해 경복궁의 넓은 공간감과 대비되는 밀도 높은 도심 숲을 조성한다. 세 개의 파빌리온(정자)과 수(水)공간, 숲 공원이 어우러지는 서울의 새로운 명소로 만들어 연간 300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하는 것이 서울시 목표다.
지하에는 휴게 및 식음시설, 다목적 공간 등이 들어선다. 지하 공간은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KT빌딩, 세종문화회관 지하와 연결 통로로 잇는다.
시는 이날 '세종로공원 및 상징조형물 설계 공모' 시상식을 열어 이달 중 당선자와 설계 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상징공간과 조형물은 연내, 세종로공원은 2027년 5월 완공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시는 지난해 6월 100m에 이르는 대형 태극기 게양대를 포함한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 계획을 발표한 후 거센 비판에 휩싸였다. 이에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시민 의견을 토대로 이번 국제 설계안 공모를 진행했다.
alicemunr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