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광화문광장에 6·25참전국 돌보 22개 세운다…'감사의 정원' 조성(종합)

참전국 채굴 석재 들여와 측면에 애송시, 글귀 새겨
지하에도 상징공간…22개국 현지 모습 미디어월 설치

서울 광화문광장 '감사의 정원' 조감도.(서울시 제공)

(서울=뉴스1) 이설 이비슬 기자 = 서울시가 6·25 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담은 '감사의 정원'을 광화문광장에 만든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3일 오전 서울시청 1층 로비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감사의 정원 조성계획과 상징 조형물 공모 당선작 '감사의 빛 22'에 대해 설명했다.

오 시장은 "6·25 당시 우방국의 도움이 없었다면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번영은 결코 있을 수 없었을 것"이라며 "600년 우리나라의 중심지로 대한민국 국가와 국민의 정체성이 오롯이 담긴 광화문광장에 감사의 정원을 만들어 이곳을 찾는 세계인에게 감동을 전하겠다"고 알렸다.

특히 오 시장은 역사적으로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켜내기 위한 공간으로 기능해 왔으며 외국인에게도 서울 대표 랜드마크로 손꼽히는 광화문광장이 감사의 정원 최적지라고 전했다.

22개 참전국에서 채굴된 석재 들여올 예정…다채로운 빛 연출도

감사의 정원 22개 상징조형물.(서울시 제공)

조형물은 참전국을 상징하는 22개의 검은 화강암 돌보, 보 사이 유리 브릿지 등으로 구성된 지상부, 참전국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감사의 공간이 들어선 지하부로 구성될 예정이다.

지상부에 참전국에 대한 감사를 시각화한 5.7~7m 높이의 조형물 22개인 감사의 빛 22를 설치한다. 22개 참전국에서 채굴된 석재를 들여와 조형물을 만들고 측면에는 참전국 고유 언어로 애송시, 문학작품, 글귀 등을 새겨 참전용사의 희생을 기린다.

오 시장은 "내일 22개국 대사 및 관계자들을 모시고 설명회를 개최한다"며 "석재 기증이 어려운 나라의 경우 저희가 구매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22개 조형물은 한국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를, 검은 석재의 물성은 이들 국가와의 단단한 유대감을 상징한다. 감사의 빛 22는 다채로운 빛 연출이 가능해 우방국 기념일 등에 빛을 활용해 감사의 예우를 표현할 수 있다.

지하공간, 날씨와 상관없이 추모 가능…세종로 공원엔 '도심 숲'

지하에 마련된 상징공간.(서울시 제공)

지하에는 우방국과 실시간 소통 가능한 상징 공간이 들어선다. 22개국의 현지 모습을 영상·이미지 등으로 만나볼 수 있는 미디어월이 조성된다. 서울시는 희망하는 도시는 실시간으로, 시차가 있는 도시는 녹화 영상으로 연결할 방침이다.

오 시장은 "감사의 공원이 지하와 연결되면 날씨 때문에 오는 여러 가지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안온하고 안정된 분위기 속에서 희생 참전 용사들을 추모도 하고 여러 영상물, 참전국 홍보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라고 말했다.

상징 조형물 옆 세종로공원을 종합적으로 정비해 경복궁의 넓은 공간감과 대비되는 밀도 높은 도심 숲을 조성한다. 세 개의 파빌리온(정자)과 수(水)공간, 숲 공원이 어우러지는 서울의 새로운 명소로 만들어 연간 300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하는 것이 서울시 목표다.

지하에는 휴게 및 식음시설, 다목적 공간 등이 들어선다. 지하 공간은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KT빌딩, 세종문화회관 지하와 연결 통로로 잇는다.

상징 공간은 연내, 세종로공원은 2027년 5월 완공

시는 이날 '세종로공원 및 상징조형물 설계 공모' 시상식을 열어 이달 중 당선자와 설계 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공모에는 총 31개 작품이 접수됐으며 시는 '삶것건축사사무소, 프라우드건축사사무소, 엘피스케이프' 공동응모 작품인 '윗마루, 아랫마당, 추모공간:22'를 최종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이날 시상식은 '유엔 참전용사들의 손녀'라는 별명으로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MC 캠벨 에이시아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6·25 참전 유공자회 유재식 서울시 지부장 등 참전용사 10명이 함께했다.

서울시는 상징 공간과 조형물은 연내, 세종로공원은 2027년 5월 완공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시는 지난해 6월 100m에 이르는 대형 태극기 게양대를 포함한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 계획을 발표한 후 비판에 휩싸였다. 이에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시민 의견을 토대로 이번 국제 설계안 공모를 진행했다.

오 시장은 "지난해 태극기를 지나치게 크게 설치한다는 비판이 있었고, 한국을 도와준 나라가 22개국인데 태극기만 지나치게 크게 설치하는 게 도리에 안 맞는 측면이 있었다"며 "22개국의 희생에 대한 감사의 의미를 극대화하겠다는 의미가 이 설계안에 모두 반영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sseol@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