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서울시 '돌봄SOS' 서비스 확대…방문 재활치료·식사 배달도

16개 자치구 선정…구별 특성 맞춰 서비스 추가

돌봄SOS 사업 시행 이후 누적 추진실적.(서울시 제공)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불의의 사고나 질병 등으로 긴급한 도움이 필요한 시민을 지원하는 '돌봄 SOS' 서비스가 확대된다.

서울시는 16일 돌봄 SOS 일시재가, 단기시설 입소 등 5대 서비스에 올해부터는 자치구별 수혜시민의 특성에 맞춰 '방문 재활치료', '복지 용구 대여', '방문목욕 및 이미용', '환자용 영양식·특수식 지원'까지 추가된다고 밝혔다.

돌봄 SOS는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가정을 방문해 대상자를 간병하거나 수발하는 '일시재가', 대상자에게 임시보호를 제공하는 '단기시설', 병원 방문 등 필수적인 외출을 돕는 '동행지원' 등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서울시는 지난 2월,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발굴·제공하기 위해 '2025년 자치구 특화 돌봄SOS 서비스 공모'를 실시했다. 이번 공모에는 총 18개 자치구가 신청했고 선정심사위원회를 거쳐 최종 16개 자치구가 제안한 돌봄서비스가 선정됐다.

은평구, 강동구, 금천구 등 14개 자치구는 수술 후 퇴원했거나 질환·장애 등으로 재활이 필요한 시민을 직접 찾아가 재활치료·운동처방 등을 하는 '방문 재활 관련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한다.

강서구, 관악구 등 4개 자치구는 질환이나 거동 불편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지만 장기요양등급 판정 전이거나 등급이 없어 복지 용구 대여 지원을 못 받는 시민에게 수동 휠체어, 전동침대 등을 대여해준다.

청결 유지를 위한 방문 목욕 및 방문 이미용 서비스(노원구)와 환자용 영양식·특수식지원(서대문구 등) 서비스 등도 진행된다.

시는 총 11억 6700만원을 지원하며 16개 자치구는 12월까지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내년 2월에는 16개 자치구로부터 사업수행 결과를 제출받아 우수사례는 향후 돌봄SOS 서비스로 확장한다.

돌봄SOS는 서울시민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동주민센터 또는 다산콜센터에서 신청하면 된다.

한편 2019년 시작한 돌봄 SOS는 현재까지 총 15만 643명에게 돌봄서비스를 제공했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긴급한 돌봄이 필요한 시민들에게 신속하고 적절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변화하는 환경을 반영한 서비스를 추가하고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돌봄 안전망을 더욱 촘촘하게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sseol@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