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작년 디지털성범죄 피해 지원 1만 명…딥페이크 93%가 10·20대

합성·편집 피해 1384건…전년 대비 227% 증가
삭제 지원 성인사이트가 43%로 가장 많아

2024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 주요 내용.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지난해 디지털성범죄 피해자가 1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합성·편집 기술을 이용한 허위영상물(딥페이크) 경우, 10대·20대 피해 건수가 92.6%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10일 발표한 '2024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에서 지난해 중앙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디성센터)를 통해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1만305명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8983명) 대비 14.7% 증가한 1만305명의 피해자가 중앙 디성센터에서 상담, 삭제지원, 수사·법률·의료지원 연계 등 총 33만2000여 건(전년 대비 20.6% 증가)의 서비스 지원을 받았다. 수사·법률지원 연계 건수(3826건)는 전년(1819건) 대비 110.3% 증가했고, 삭제지원 건수(30만237건) 또한 전년(24만5416건) 대비 22.3% 증가했다.

디성센터 관계자는 "디성센터가 지원한 피해자 수보다 온라인상 피해가 앞으로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온라인 통신, 기술들이 발달하면서 합성·편집 유포, 그루밍범죄 등이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피해자 중 여성은 7428명(72.1%), 남성은 2877명(27.9%)이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0대(2863명, 27.8%)와 20대(5242명, 50.9%)가 전체 피해자의 78.7%인 8105명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익명 기반 플랫폼 등을 활발히 이용하는 연령대에서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피해 유형 중 '유포불안'이 25.9%…합성·편집 피해 961건 증가

중앙 디성센터에 접수된 피해 유형 중 1만6833건 중 유포불안이 4358건(25.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불법촬영 4182건(24.9%), 유포 2890건(17.2%), 유포협박 2244건(13.3%) 순이다. 디지털성범죄는 물리적 성폭력과 달리 피해 발생 이전에도 심각한 심리적 불안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합성·편집 피해 건수는 1384건으로 전년(423건) 대비 961건(227.2%) 증가하며 가장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합성·편집 피해의 경우, 10대·20대 피해 건수가 92.6%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또 합성·편집 피해는 여성이 피해자의 대부분(96.6%)으로 주로 여성의 얼굴과 신체이미지가 딥페이크 성범죄에 악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성센터 관계자는 "AI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10대 미만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보니 초등학생 피해가 많이 들어온다"며 "이런 경향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아동 청소년 성착취에 대한 선제적 대응 시스템을 올해 12월 내에 개발 완료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를 살펴보면 채팅상대, 일회성 만남 등 일시적 관계가 28.9%로 가장 높았으며 모르는 사람 26.5%, 관계 미상 24.7%, 사회적 관계 10.0%, 친밀한 관계 9.7%, 가족관계 0.2% 순이다. 전년도와 비교하면 일시적 관계는 414명 감소했으나 모르는 사람과 관계미상은 각각 859명, 490명 증가했다.

삭제 지원 영상물 중 25.9%가 개인 정보 동반 유출

지난해 피해영상물 삭제지원 30만237건 중 7만7652건(25.9%)이 피해자의 성명, 연령 등 개인정보가 동반 유출된 사례로, 전년(5만7082건) 대비 36.0% 증가했으며 삭제 지원 4건 중 1건에는 개인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별 삭제 지원 건수는 성인사이트가 12만9268건(43.0%)으로 가장 많았고, 검색엔진 11만7029건(39.0%), 사회관계망 서비스(소셜 미디어) 3만2168건(10.7%), 클라우드 9824건(3.3%) 순으로 나타났다.

불법촬영물 삭제지원 과정에서 중앙 디성센터가 수집한 2만6318개 사이트 중 국외에 서버를 둔 사이트는 2만5095개(95.4%)이며 그 중 미국이 70.4%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한편 여가부는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보호·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중앙 및 지역 피해 지원 기관의 법적 근거를 마련했으며 이달 17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지원 기관마다 달랐던 디지털성범죄 피해 상담 접수 전화는 1366으로 일원화하고, 삭제 지원 대상을 불법촬영물 등에서 피해자 신상정보까지 확대한 개정법에 따라 삭제 지원을 강화한다.

sseol@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