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국회에 모인 휠체어 30여대 "장애인 권리 입법, 대선서 반드시 약속해야"

장애인 활동가 및 시민들, 국회서 장애인 권리 입법·예산마련 촉구
민주당·녹색당·사민당·정의당·진보당·기본소득당에 정책안 직접 전달

21일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의사당 본관 앞에서 권달주 전국장애인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가 윤김진서 기본소득당 청년 대학생 위원장에게 장애인 권리 입법을 위한 정책안을 전달하고 있다. 이 외에도 녹색당 김지윤 사무처장, 사회민주당 한창민 국회의원, 정의당 차한선 장애인위원회 위원장, 진보당 윤종오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서미화의원실 등이 동참했다. 2025.04.21/ⓒ 뉴스1 권진영 기자

(서울=뉴스1) 권진영 기자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하는 민주주의!"

휠체어를 탄 장애인 30여명과 시민 150여 명이 21일 국회의사당 본관 앞에 모여 한목소리로 장애인을 위한 권리 입법과 예산 마련을 촉구했다.

대선장애인차별철폐연대와 탈시설장애인당은 이날 '장애인권리정책 각 정당 전달식'을 열고 더불어민주당·정의당·기본소득당·녹색당·사회민주당·진보당 총 6개 정당에 7가지 요구가 담긴 정책안을 전달했다.

이들은 장애인의 △이동권 △교육권 △노동권 △탈시설 △지역사회 내 자립 △건강권 등을 요구하며 이 권리를 예산 책정으로 보장해 주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앞서 오전 8시부터 혜화역과 선바위역 등에서 진행된 제62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시위에 참여했다. 일부는 서울교통공사 측과 마찰을 빚기도 했지만 오전 9시 50분쯤 혜화역에서 지하철에 올라 총 17개 역을 거쳐 국회의사당역에 도착했다.

권달주 전국장애인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는 "잠시 지하철 열차 홍보에서 시민들께 불편을 드려 죄송하다"며 "하지만 우리는 수십 년을 기다렸고 불편을 감수하면서까지 약속을 연장하고 또 연장했지만 그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 과정에서 우리는 지하철 리프트에서 떨어져 죽고 일하고 싶어도 이동할 수 있는 교통이 없어 직장도 못 만들고 배우고 싶어도 학교에 가지 못했다. 가족에 의해서 아니면 누군가에 의해 거주시설로 끌려가 수십 년 동안 내가 왜 여기에 살았는지도 모르는 삶을 살아와야 했다"고 했다.

권 대표는 "윤석열 정부는 장애인 권리 정책을 약탈했고 오세훈 서울시장은 권리 중심 노동자 400명을 아무 이야기도 없이 해고했다. 장애인 탈시설 권리 지원 조례마저 없앴다"며 "이번 대선에서는 반드시 장애인 권리 입법을 (제정하겠다고) 약속해 달라"고 했다.

임경미 충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 역시 "새로운 정부가 시작되는 이곳에서 장애인도 시민으로서 이동하는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그런 나라를 만들어 주십시오"라고 호소했다.

21일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의사당 본관 앞에서 장애인 권리 입법과 예산 마련을 촉구하는 장애인 및 활동가들이 집회를 열고 있다. 2025.04.21/ⓒ 뉴스1 권진영 기자

이들로부터 정책안을 전달받은 정치인들은 장애인의 권리 입법을 위해 힘을 보태겠다고 약속했다.

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는 "지난 2월에는 장애인 자립 지원법 하나 겨우 통과됐고 수많은 법안이 아직도 국회에 잠들어 있다"며 "비록 작은 정당이지만 우리 장애인 동지들과 그 어려움을 하나하나 극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휠체어를 타고 등장한 차한선 정의당 장애인위원회 위원장은 "2002년 처음 장애인 차별 철폐의 날이 시작된 날 저 또한 그 자리에 함께했던 사람 중 하나"라며 "20년 이상이 지났지만 여전히 변화는 많지 않다. 가야 할 길이 너무 많이 남았고 정의당도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했다.

한편 이날 집회에는 한 남성이 난입해 "여긴 집회하는 곳이 아니다"라며 시비를 걸기도 했으나 이내 안전요원에 의해 이격 조처됐다.

realkwon@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