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수의대생 "서울대, 비민주적…SNU반려동물검진센터 반대"
수대협 "대학 공공성·학생 학습권 침해 우려"
"지역 동물병원과 상생 모델 구축 집중해야"
- 최서윤 동물문화전문기자, 한송아 기자
(서울=뉴스1) 최서윤 동물문화전문기자 한송아 기자 = 대한수의과대학학생협회(이하 수대협)는 서울대학교 지주회사인 SNU홀딩스와 자회사 스누펫(SNU펫)이 건강검진센터로 추진 중인 'SNU반려동물헬스케어센터(스누반려동물헬스케어센터)' 설립 계획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이들은 최근 성명을 통해 대학의 공공성과 학습권 보장을 위협하는 사업 추진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수대협은 서울대를 포함해 전국 10개 수의과대학 학생들이 소속돼 있다.
수대협은 케어센터 설립에 대해 "서울대의 공익적 정체성과 교육기관으로서 책무에 위배된다"며 "학생을 포함한 학내 구성원들의 참여 없는 비민주적 절차로 추진됐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같은 이유로 △대학의 정체성과 충돌 △민주적 절차의 부재 △대안 검토 부족을 들었다.
수대협은 "동물검진센터가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한 영리사업이라는 점에서 공공성을 핵심 가치로 하는 국립대학의 역할과 상충한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교육·연구 자원의 배분이 왜곡되고, 학생들의 학습권이 침해될 수 있다는 우려도 덧붙였다.
수의계에서는 케어센터가 비영리를 내세우고 있지만 향후 건강검진 데이터를 외부 자본이 투입된 스누펫에 넘긴다는 점에서 "서울대가 앞장서서 비수의사가 주도하는 제2영리병원을 만든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서울대 수의대 현직 교수가 케어센터 이사장을 맡는다는 점에서 겸직에 문제가 있으며, 학교가 학생들을 수의사로 배출하고 나서 다시 그 학생들과 경쟁을 하는 모양새라는 주장도 제기했다.
수대협 또한 "케어센터 설립 추진은 서울대 수의대 교수진 및 학생들과의 협의 없이 진행됐으며 사전 소통도 전무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학생은 단순한 수혜자가 아닌 교육의 주체"라며 "학생을 배제한 결정은 학습권 침해일 뿐 아니라 서울대가 표방하는 민주적 공동체 운영 원칙에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센터 설립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인 수의료 데이터 수집과 관련해서도 "기술적·제도적 대안을 통해서도 목적 달성이 가능함에도, 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단일 센터 설립을 강행하는 것은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공통 포맷 기반의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구축 △메타데이터 기반 데이터 플랫폼 개발 △지역 병원과의 협업 가이드라인 제정 등을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했다.
수대협은 "진정한 공익적 목적을 실현하려면 지역 동물병원과의 상생 협력 모델 구축에 자원을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서울대학교 측에 △센터 설립 계획의 전면 재검토 △구성원과의 공개적 협의 과정 마련 △공공성과 협력에 기반한 대안적 추진 전략 수립을 촉구했다.
수대협 관계자는 "향후 본 사안에 대해 수의대 구성원은 물론, 전국 수의계 및 관련 기관과의 연대 및 협의를 통해 대응을 이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해피펫]
news1-1004@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