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서울 버스노조 30일 쟁의행위 투표 가결…시, 비상수송대책 마련

지하철 1일 총 173회 증회, 혼잡시간 1시간 연장
각 자치구 무료 셔틀 운행…"만일의 사태 대비"

서울 중구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시민들이 버스를 이용하고 있다. 2024.11.20/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28일 서울시 버스노동조합에서 실시한 쟁의행위 투표가 찬성으로 최종 가결됨에 따라 서울시가 파업 등 사태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시는 이날 노조 측에서 예고한 대로 30일 '준법투쟁', '안전운행 캠페인' 등 전면 쟁의행위 돌입 시 운행 지연, 배차간격 증가 등 시내버스 운영에 큰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전했다.

시는 버스 운행 간격, 운행 속도, 정류소 정차 시간 등에 이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서울경찰청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즉각적인 조치에 나설 예정이다.

출퇴근 시간대 주요 교통혼잡 지역 대상 교통경찰 배치, 버스 중앙차로 구간 내 운행 지연 발생 시 후속 버스의 추월 조치 허용 등을 경찰에 요청할 방침이다.

노조 측에서는 현재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 중인 임금협상이 최종 결렬 시 30일부터 전면 쟁의행위를 예고한 상황이다. 올해는 임금 인상 정도에 대한 노사간 입장차가 커 쟁의행위가 안전 운행이 아닌 전면 파업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서울시는 파업을 대비한 비상수송대책도 미리 수립했다고 전했다.

서울시·자치구·버스조합은 비상수송대책 본부를 구성해 24시간 연락 체계를 유지하고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 9호선, 우이신설경전철 등 교통운영기관과도 협력체계를 사전 구축한다.

먼저 지하철은 출퇴근 혼잡 완화 및 불편 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1일 총 173회를 증회한다. 출퇴근 주요 혼잡시간은 현행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투입을 늘리고, 지하철 막차도 다음 날 오전 2시까지 연장해 심야 이동도 지원한다.

또 서울 25개 각 자치구에서는 무료셔틀버스를 운행한다. 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되는 노선 중 마을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거점에서 지하철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민·관 차량 500여 대를 즉시 투입할 예정이다. 셔틀버스 노선 정보는 서울시 및 자치구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파업 등 쟁의행위의 장기화를 대비해 출근 시간에 집중되는 이동 수요를 분산하고자 시내 초·중·고등학교와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에 등교 및 출근 시간을 1시간 조정해 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가급적 전면적인 쟁의행위로 이어지지 않도록 노사 간 협의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수송대책 마련에도 만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sseol@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