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위기청소년 3명 중 1명 "우울하다"…자해 시도 늘어

"코로나 이후 일상회복 단계서 상대적 박탈감 커"
은둔 경험 청소년 줄었지만 사회적 고립감 많이 느껴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위기청소년' 3명 중 1명이 우울감을 경험하고, 8.2%가 최근 1년간 자살을 시도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29일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쉼터 등과 같은 위기청소년 지원기관을 이용했거나 입소한 경험이 있는 만 9세에서 18세 이하 청소년 46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위기청소년 지원기관 이용자 생활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청소년 복지·보호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3년마다 실시하며 2021년 첫 조사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우울감 경험 위기청소년 2021년 대비 6.8%p 증가

조사 결과, 지난 1년간 2주 내내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우울감)을 경험한 위기청소년은 33.0%로 2021년(26.2%) 대비 6.8%p 증가했다.

여가부 관계자는 위기청소년의 '우울감'이 증가한 이유에 대해 "2021년도에는 코로나19가 있던 해였고, 코로나19가 끝난 뒤 일상 회복 단계에서 대부분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 있는 위기청소년들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이 크다"며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느끼는 우울감이 더 심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최근 1년간 자살을 시도해 본 적이 있는 위기청소년은 8.2%로 2021년(9.9%) 대비 감소(1.7%p)했지만 자해를 시도해 본 경험이 있는 위기청소년은 21.5%로 2021년(18.7%) 대비 증가(2.8%p)했다.

자살 시도의 주된 이유는 심리불안 37.3%, 가족 간의 갈등 27.0%, 학업문제 15.0% 순이다. 특히 학업문제는 2021년(4.7%) 대비 10.3%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가부 관계자는 자살 시도의 주된 이유로 '학업문제'가 큰 폭으로 증가된 데 대해선 "코로나19 기간 학습 격차가 더 심화됐고, 코로나19 회복 이후 그 격차를 더 심하게 느낄 수 있다"며 "학업에서의 압박감이나 구조적 불안감이 위기청소년들로 하여금 심리적 스트레스로 느끼게 만드는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굉장히 크다"고 설명했다.

자살 또는 자해 생각이나 시도 경험이 있는 위기청소년의 반 이상은 자살(55.1%)이나 자해(50.5%) 관련 생각 및 시도 경험을 주위에 알린다고 응답했다. 알린 대상으로 친구 또는 선후배 44.4%, 청소년 기관이나 시설(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상담 1388 등) 43.8% 순이다.

은둔 기간은 1개월 미만이 가장 높아…가출은 27.7%

은둔 경험이 있는 위기청소년은 25.8%로 2021년(46.7%) 대비 20.9%p 감소했다. 외출하지 않고 집에서 지냈던 기간에 대해서는 '1개월 미만'이 6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기청소년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고립되어 있다고 느끼는 비율(43.5%)이 다른 조사(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14.0%)의 청소년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등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수준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금까지 한 번이라도 가출을 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7.7%로 2021년(32.6%) 대비 4.9%p 감소했다. 집을 나오게 된 주된 이유는 '가족과의 갈등' 69.5%, '자유로운 생활' 34.3%, '가정폭력' 26.3% 순이다.

가출 후 생활공간은 친구 또는 선후배 집(58.3%)이 2021년(62.0%) 대비 3.7%p 감소했지만, 청소년쉼터(30.2%)는 2021년(27.5%) 대비 2.7%p 증가했다.

디지털 성범죄 노출된 위기청소년 17.3%…친구, 선후배 피해도

위기청소년의 17.3%는 디지털 성범죄 및 개인정보유출 등 온라인 인권침해 피해 경험이 있었다. 또 19.7%는 친구, 선후배 등으로부터 폭력 피해를 보았으며 10명 중 4명은 부모 등 보호자로부터 신체폭력(42.9%), 언어폭력(44.6%)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청소년 지원기관을 알고 있는지에 대해 '위(Wee)클래스 또는 위(Wee)센터' 84.0%, 청소년상담복지센터 80.8%, 청소년상담1388 79.5% 순이고, 이용했을 때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은 청소년상담복지센터가 93.2%로 가장 높았다.

여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위기청소년이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청소년복지·보호정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sseol@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