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SKT 해킹 '모바일 신분증'도 우려…행안부 "복제폰서 발급 불가"

"대면·생체 인식 등 다층적 보안 절차로 안전"

SK텔레콤 가입자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고 관련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 사흘째인 30일 서울 시내 한 T월드 직영매장에 온라인 예약을 통한 유심 교체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5.4.30/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행정안전부는 30일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 복제폰을 통한 모바일 신분증 부정 발급 우려에 대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이날 참고자료를 내고 "모바일 신분증은 복제폰에서 발급받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라며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SK텔레콤의 유심 정보가 대규모로 유출되며 모바일 주민등록증 등 모바일 신분증의 보안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유심만 바꾸면 위험한 것 아니냐",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삭제해야 하나"는 글이 잇따르고 있다.

행안부는 "모바일 신분증 발급은 반드시 본인이 직접 주민센터 등 발급기관을 방문해 신원확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며 "신원확인 후에는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IC(집적회로)칩이 내장된 실물 신분증을 교부받는다"고 밝혔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등록한 비밀번호와 IC 신분증을 인식시켜야 하며, 최종적으로 안면 인식을 통해 발급 신청자와 신분증 사진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대면 확인, 비밀번호 인증, IC 신분증 인식, 생체 인증 등 다층적인 보안 절차를 모두 통과해야만 모바일 신분증 발급이 가능하다"며 "단순히 개인정보를 알고 있거나 해당 명의의 유심을 소지하고 있다고 해서 발급받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국민이 안전하게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안 시스템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hj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