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대 동문·재학생 "김건희 논문 표절 73일째…학위 취소해야"
"징계 계획, 지연 이유 아무 설명 없어…지연된 정의는 정의 아냐"
"석사 취소돼야 박사학위도 취소 가능…대선 전에 결론 내려야"
- 박혜연 기자
(서울=뉴스1) 박혜연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석사논문 표절과 관련, 숙명여대 동문회와 교수·재학생들이 김 여사의 학위 취소 등 징계를 촉구했다.
숙명여대 민주동문회와 재학생 모임 '설화' 등은 8일 오전 서울 중구 충무로 공간 하제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표절 확정) 73일이 지난 지금까지 숙명여대와 문시연 총장은 징계 계획과 지연 이유에 대해 어떤 설명도 하지 않고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즉각적으로 김 여사의 석사 논문을 철회하고 학위를 취소하라"고 요구했다.
지난 2월 25일 김 여사의 숙명여대 석사 학위 논문 표절 문제를 제기한 숙명여대 민주동문회와 김 여사 측이 모두 학교의 조사 결과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서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연진위)가 표절을 확정하는 수순을 밟게 됐다.
해당 석사 논문은 김 여사가 1999년 숙명여대 교육대학원에 낸 '파울 쿨레의 회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다. 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표절 논란이 일자 숙명여대 연진위는 2022년 초 예비조사를 진행하고, 같은 해 12월 본조사에 착수한 뒤 표절률이 48.1~54.9%라는 결론을 냈다.
신동순 숙명여대 중어중문학부 교수는 "표절률 50%가 넘는 김건희 씨 논문에 대해 표절로 확정하는 시간이 한참이나 지연됐다"며 "연구논문에 대한 부정행위는 어느 시대이든 근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김 씨의 논문 표절에는 학위 취소가 원칙"이라며 "숙명여대 구성원으로서 문시연 총장에게 논문 주체를 구분하지 말고 절차 진행에 있어서 공평하고 상식적일 것을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설화의 대표로 나온 황다경 씨는 "(학교는) 3개월이 지나가고 있는 지금까지 학위 취소는커녕 징계에 대한 지연 이유조차 설명하지 않고 있다"며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라며 논문 표절 심사를 공약으로 내건 총장을 학생 손으로 직접 뽑았고, 시국선언을 진행하며 2626명 학생이 모여 정의롭지 않은 권력을 비판했다"고 지적했다.
유영주 숙명여대 민주동문회장은 "학교는 무엇 때문인지 (징계 계획을) 전혀 알려주지 않아 답답한 상황"이라며 "숙대 모든 구성원들의 명예는 더럽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숙명여대 민주동문회 측은 연진위가 논문 표절을 심사한 후에 징계조치를 논의해 총장에게 보고하고 총장의 권한으로 징계 처분하는 절차가 남아 있지만, 현재 진행 단계를 전혀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유 회장은 "(김 여사의) 석사 학위 논문이 취소돼야 국민대 박사 학위 논문도 취소될 수 있기 때문에 국민대의 많은 구성원들도 저희를 주시하고 있다"며 "숙대가 정치권 눈치를 보면서 의도적으로 (징계를) 지연하고 있다는 오해를 심어주는 건 불필요하다. 대선 결과가 나오기 전에 (징계 조치가) 이뤄졌음 좋겠다"고 강조했다.
hypark@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