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AI 실종아동 수색·자율순찰로봇…자치경찰 연구개발 나서

2027년까지 107억 원 들여 지역 맞춤형 치안 기술 개발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 게양된 경찰청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2022.6.29/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서울=뉴스1) 이기범 기자 = 인공지능(AI) 실종 아동 수색부터 자율순찰로봇까지 지역 맞춤형 자치경찰 연구개발 과제가 추진된다.

경찰청은 과학치안진흥센터와 협력해 2025년도 자치경찰 연구개발 사업 2차 과제로 △'AI 활용 실종 아동 수색 및 환경 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 사업 지원 플랫폼'(동국대-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 △'순찰 로봇 및 영상 센서 활용한 안전관리체계 구축'(전주대-전북 자치경찰위원회) 등 2건의 사업을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자치경찰 수요 기반 문제해결 연구개발 사업은 경찰청이 2022년부터 2027년까지 국비 107억 원을 들여 지역별 연구기관, 자치경찰위원회, 시도경찰청 등과 협력해 지역 특성에 따른 치안 문제를 발굴하고 이에 맞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1차 사업은 2023년 △'여성·어린이 안심귀가를 위한 AI 데이터 범죄 취약지구 디지털 순찰서비스'(대구 테크노파크-대구 자치경찰위원회) △'교통사고·혼잡 예측 및 확산 방지를 위한 현장 데이터 기반 교통현장 관리지원 기술 개발'(제주 테크노파크-제주 자치경찰위원회) 등이 선정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연구개발 사업은 2027년 종료되며, 실증 결과에 따라 치안 현장에 적용될 예정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경찰청, 자치경찰위원회, 시도경찰청, 지역 연구기관이 과학 치안 협력체계를 구축, 지역의 치안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과학 치안 기술 개발로 자치경찰의 범죄예방 및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Ktiger@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