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국민 공감 커지는데… 대선 공약엔 빠진 '농장동물 복지'

2024 농장동물 복지 국민인식 조사 결과 발표
어웨어 "농장동물, 가장 시급한 복지 사각지대"

스톨(감금틀)에서 사육되는 어미돼지(왼쪽)와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산란계 농장(왼쪽 사진 어웨어 제공) ⓒ 뉴스1

(서울=뉴스1) 한송아 기자 = 국민 대부분이 농장동물 복지 개선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가운데, 대선 후보들의 동물복지 공약이 주로 반려동물에만 집중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20일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대표 이형주)는 '2024 농장동물 복지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24년 12월 18일부터 23일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2,00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6.2%가 "농장동물 복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 수치는 2021년 90.0%, 2022년 94.7%, 2023년 95.4%에 이어 해마다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돼지의 스톨 사육, 산란계의 배터리 케이지 사육 등 공장식 축산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는 국민 비율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돼지 스톨 사육에 대해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74.9%로, 2023년보다 4.5%포인트, 2021년보다 24.7%포인트 상승했다. 산란계 배터리 케이지 사육을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는 92.1%, 단계적 금지를 찬성하는 응답자는 90.5%에 달했다.

모돈(어미돼지)의 스톨 사육 기간을 제한하는 방안에 대해선 응답자의 79.0%가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 중 78.8%는 사육 환경 개선에 따른 추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이들이 감수할 수 있는 추가 비용은 평균적으로 기존 구입가 대비 16.63%로 나타났다.

실제 소비에서도 동물복지를 고려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축산물을 직접 구매하는 응답자 가운데 최근 6개월 내 동물복지인증 축산물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비율은 62.9%로, 전년 대비 4.5%포인트 증가했다.

동물복지 인증 축산물을 둘러보고 있는 소비자들 ⓒ 뉴스1 이승배 기자

이번 조사 결과는 농장동물 복지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기대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단순한 인식 수준을 넘어 실제 소비 행동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스톨 사육 제한과 배터리 케이지 금지 등 농장 내 사육 환경 개선에 대한 국민적 지지는 정책 수립의 근거로서 주목할 만하다.

그런데도 농장동물 복지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입법적 대응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과 후보들이 발표한 동물복지 공약의 대부분이 반려동물 관련 정책에 치중됐지만, 사육 규모나 동물복지의 시급성을 고려할 때 농장동물에 대한 정책은 여전히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이형주 어웨어 대표는 "농장동물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는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정책 논의에서 항상 뒷순위로 밀려나 있다"며 "국민 인식 수준에 부응하는 실효성 있는 농장동물 복지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특히 이번 대선에서는 각 후보가 농장동물 복지를 주요 공약으로 다루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 2월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제3차 동물복지 5개년 종합계획'에는 일반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한 축종별 동물복지 지침 마련 계획이 포함돼 있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동물복지 수준 향상을 위해 지침을 성실히 이행하는 농장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장기적으로는 필수 지침의 준수를 의무화하는 방향으로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해피펫]

badook2@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