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국가폭력 상징' 남영동 대공분실, 민주화운동 기념관으로 새 문 연다

6월 10일 정식 개관…대공분실 등 국가폭력 현장 보존돼
이재오 이사장 "국정 혼란스러워도 민주주의 계속 발전해야"

지난 20일 개관을 앞둔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의 모습.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국가폭력의 상징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 리모델링을 거쳐 오는 10일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정식 개관한다. 2025.5.20/뉴스1

(서울=뉴스1) 권진영 기자 = 1970~1980년대 국가 폭력의 상징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이 오는 6월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거듭난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20일 서울 용산구에 새로 지어진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민주항쟁 38주년인 6월 10일 정식 개관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념식 및 개관식 주제는 '다시, 민주주의'다. 민주화운동의 가치와 의미를 성찰하고 새로운 민주주의를 열어가자는 의미를 갖고 있다. 익명성과 침묵의 공간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이 민주주의를 계승하는 기억과 성찰의 공간으로 거듭남을 알리는 의미도 담고 있다.

김재형 민주화운동기념관장은 "남영동 대공분실은 우리 현대사회에서 결코 잊어서는 안 될 아픈 역사의 공간"이라며 "1987년 이곳에서 발생한 故 박종철 열사의 고문치사 사건은 우리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고 6·10 민주항쟁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이 지난 20일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가진 기념관 개관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국가폭력의 상징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 리모델링을 거쳐 오는 10일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정식 개관한다. 2025.5.20/뉴스1

남영동 대공분실은 1976년 지어졌다. 당시 경찰청 보안수사대의 대공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시설로 지어졌으나 민주화 운동을 벌인 인사를 고문하기 위한 장소로 쓰였다. 故 박종철 열사를 비롯해 최소 400명이 국가폭력 피해를 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도 그 피해자 중 한 명이다.

이재오 이사장은 "2023년 취임 전까지는 지하철을 타고 지나갈 때조차 이쪽을 쳐다보지 않았다"면서도 "하지만 마냥 외면만 할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발전시킬 수 있는 장소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나라가, 국정이 아무리 혼란스러워도 민주주의는 계속 발전해야 하고 어떤 정권이 들어서든 민주주의를 지켜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자리는 고문하던 경찰들이 체력단련장으로 쓰던 곳이지만 앞으로는 청소년들이 민주주의 사회의 교육장으로써 이곳을 활용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기념관은 크게 두 건물로 분리된다. 전시 공간인 M1(신관)에서는 민주화운동의 서사를 시대별 주요 사건 중심으로 스크린패널을 통해 생동감 있게 소개한다. 국가가 법적으로 인정한 10대 민주화운동 외에도 학생·재야·노동·농민·언론·여성 6개 분야 주체가 이뤄낸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만나볼 수 있다.

옛 남영동 대공분실을 보존해 놓은 M2는 외형부터 검은 벽돌과 좁은 띠창, 나선형 계단 등 고문실로 설계된 건물의 특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내부에는 200개가 넘는 스피커를 설치해 당시 안에서 들렸던 생활 소음을 생생하게 구현했다. 박종철 열사가 숨진 509호 조사실과 고위급 피의자를 조사하던 3층 특수조사실을 직접 볼 수 있다.

지난 20일 개관을 앞둔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관계자가 박종철 열사의 사망진단서를 살펴보고 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국가폭력의 상징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 리모델링을 거쳐 오는 10일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정식 개관한다. 2025.5.21/뉴스1

realkwon@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